루틴/사업

병욱맘의 에이아이 첫 촬영을 위한 대화

pastorjay 2025. 6. 25. 09:09

1. 방향성

(1) “병욱맘의 에이아이” 유튜브 채널의 첫 콘텐츠 촬영은, 병욱맘의 ①스토리와 ②전문성을 동시에 드러내는 채널이 되게 한다. → 진정성과 전문성을 전달하는 방향성으로 컨텐츠를 진행한다. 

(2) 이 채널이 앞으로 ①강의 초청과 ②사업 기회를 넓히는 플랫폼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첫 촬영 콘텐츠 구성 : “내가 에이아이 강사가 되기까지”

(1) 주제: “특별한 아들을 키우는 엄마가 AI 강사가 되기까지”
→ 병욱맘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동시에 담을 수 있는 주제.

(2) 영상 흐름: 10~15분 팟캐스트 스타일

[오프닝]

“안녕하세요, 병욱맘의 에이아이입니다. 저는 병욱이라는 특별한 아들을 키우는 엄마이자, AI 강의로 초청받는 전문 강사입니다.”

[개인 스토리]
병욱이가 어떤 아이인지
처음 특별함을 알게 되었을 때의 마음
AI를 공부하게 된 계기
AI를 공부하면서 인생이 바뀐 과정
AI 전문 강사로서의 삶 
어디서 강의하고 있는지
청소년, 학교, 기관에서 어떤 반응을 받았는지
왜 OOO을 위한 AI 교육이 중요하다고 느끼는지
앞으로 이 채널에서 하고 싶은 이야기
AI, 교육, 진로, 부모교육 등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계획
"병욱이와 함께 살아가는 이야기도 함께 전하고 싶다"
“엄마도, 선생님도, 청소년도 AI와 친해질 수 있습니다”

 

3. 첫 영상의 제목

(1) “우리 아이가 OOO을 한 날, 저는 AI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 엄마가 AI 강사가 되기까지, 병욱맘의 진짜 이야기

(2) “우리 아이가 달라요”… AI로 다시 일어난 엄마의 반전 인생

 

 


4. 첫 영상의 목적:

(1) 이 사람은 신뢰할 만하다.
(2) 이야기가 궁금하다.
(3) 강사로도 초청하고 싶다.
(4) 구독하고 계속 듣고 싶다.

 

5. 앞으로 쌓아갈 콘텐츠 방향 제안 (시리즈 기획)

(1) [병욱맘의 일상 AI] 시리즈

자녀와의 일상에서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예: “내 아이가 챗GPT를 처음 써본 날”, “AI로 병욱이 숙제 도와주기”

 

(2) [학교가 부르는 AI] 시리즈

실제 학교에서 강의한 내용 요약 소개

예: “중학생을 위한 AI 진로 수업 핵심 정리”, “고등학생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 TOP5”

 

(3) [AI 엄마 되는 법] 시리즈

엄마들을 위한 초보 AI 사용법

예: “챗GPT로 아이 기말고사 대비하기”, “AI로 시간표 짜기, 가계부 만들기”

 

(4) [병욱맘 인터뷰] 시리즈

병욱맘이 만난 교육자, 엄마, 전문가 인터뷰

예: 특수교육 교사, 발달장애 전문가, AI 개발자 등

 

(5) [병욱맘의 고민상담소]

학부모와 학생들의 고민에 AI 전문가/엄마로서 답변

예: “우리 아이, AI 시대에 어떤 직업을 가져야 할까요?”

 

6. 촬영 

(1) 진솔하게, 조근조근, 전문가처럼 말하기

(2) '병욱이와 함께'라는 정체성을 계속 강조

(3) 너무 기술적이지 않게, '생활 속 AI'를 소개

(4) 배경은 따뜻한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