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이야기에는 일정한 패턴이 있습니다. 주인공이 평범한 일상을 살다가 변화의 계기를 맞고, 새로운 세계에서 도전을 겪으며 성장한 후 다시 원래 세계로 돌아오는 과정이죠. 이런 스토리 구조를 정리한 대표적인 이론이 조셉 캠벨의 영웅의 여정인데요, 이를 현대적으로 단순화한 것이 바로 **댄 하몬의 ‘하몬서클(Harmonic Circle)’**입니다.
댄 하몬은 애니메이션 *릭 앤 모티(Rick and Morty)*의 공동 제작자로 유명한데, 그는 강력한 스토리텔링 구조를 만들기 위해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8단계 이야기 구조를 개발했습니다. 이 방식은 영화, 드라마, 소설, 심지어 유튜브 영상에도 활용할 수 있어요.
하몬서클의 8단계 이야기 구조
하몬서클은 **"질서(ORDER)에서 혼돈(CHAOS)으로 갔다가 다시 질서로 돌아오는 여정"**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과정에서 주인공은 변화를 겪고 성장하게 되죠.
1. YOU (주인공 설정) - 주인공이 누구인가?
이야기의 시작점입니다.
주인공이 누구인지, 어떤 환경에서 살아가는지 보여줍니다.
➡ 예: 평범한 고등학생 피터 파커가 뉴욕에서 평범한 삶을 살고 있다.
2. NEED (필요) - 주인공이 원하는 것은?
주인공이 뭔가 부족하거나, 갈망하는 것이 있습니다.
이 목표가 이야기를 움직이는 동력이 됩니다.
➡ 예: 피터는 평범한 학생이지만, 더 의미 있는 삶을 살고 싶어 한다.
3. GO! (출발) - 모험이 시작된다
주인공이 기존 세계를 떠나 새로운 도전으로 나아갑니다.
➡ 예: 피터는 거미에게 물려 초능력을 얻고, 영웅으로서의 길을 가기로 결심한다.
4. SEARCH (탐색) - 시험과 시련
주인공은 새로운 세계에서 다양한 시련을 겪습니다.
➡ 예: 피터는 능력을 사용해 범죄자들을 막아보지만, 실수도 하고 어려움을 겪는다.
5. FIND (발견) - 중요한 깨달음
이야기의 핵심이 되는 발견이나 중요한 전환점이 등장합니다.
➡ 예: 삼촌 벤이 죽으며 "큰 힘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는 말을 남긴다.
6. TAKE (획득) - 대가를 치르다
주인공이 원하는 것을 얻지만, 그 과정에서 희생이나 변화를 겪습니다.
➡ 예: 피터는 자신의 능력으로 더 큰 희생을 감수해야 한다는 걸 깨닫는다.
7. RETURN (귀환) - 원래 세계로 돌아오다
주인공이 원래 세계로 돌아가지만, 이제는 다른 사람이 되어 있다.
➡ 예: 피터는 스파이더맨으로서의 사명을 받아들이고,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8. CHANGE (변화) - 새로운 나
이야기 초반과 비교했을 때 주인공이 성장하고 변화했음을 보여줍니다.
➡ 예: 피터는 더 이상 평범한 학생이 아니라, 책임감 있는 영웅으로 거듭난다.
왜 하몬서클이 강력한가?
하몬서클은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스토리 구조입니다.
✔ 어떤 장르에도 적용 가능 – 영화, 소설, 애니메이션, 유튜브 콘텐츠까지!
✔ 관객이 몰입할 수 있는 이야기 구성 – 변화와 성장을 강조해 감정적으로 몰입하기 쉽습니다.
✔ 빠르게 스토리를 정리하는 데 유용 – 기본 뼈대를 잡고 나면 세부적인 내용을 추가하기 편리합니다.
실제로 릭 앤 모티, 커뮤니티, 픽사 애니메이션, 마블 영화 등 수많은 작품에서 이 구조를 활용하고 있어요. 여러분이 이야기나 콘텐츠를 만들 때도 이 8단계를 활용해보세요!
'집필공간 > 글쓰기 북트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책에 넣을 그림들 (0) | 2025.04.15 |
---|---|
3주차. 어떻게 써야 하나? (0) | 2024.07.25 |
2주차. 무엇을 써야 하나? (호주 "더 쉐마 처치" 북캠) (2) | 2024.07.18 |
1주차. 왜 써야 하나? (0) | 2024.07.11 |
새벽 기도 끄적 끄적 (0) | 2024.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