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처치 설교및 강의/TYPOLOGY, Patrick Fairbairn(1847) (8) 썸네일형 리스트형 The Typology of Scripture_2부의 서문. Book Second.The Dispensation of Primeval and Patriarchal Times. Preliminary Remarks. Book Second. The Dispensation of Primeval and Patriarchal Times. Preliminary Remarks. 제2권 서문 요약: 태초와 족장 시대의 경륜이전까지는 주로 성경의 모형론적 원칙을 연구하는 데 집중했다. 이제부터는 구체적으로 구약의 모형적 요소를 탐구하는 보다 실천적이고 방대한 논의로 들어가려 한다. 이를 위해, 연구의 일반적인 구조를 먼저 설명하고, 우리가 따라야 할 중요한 기준점을 제시할 것이다.1. 모형론과 신적 경륜의 연결구약의 모든 모형적 요소들은 특정한 신적 경륜(Dispensation) 속에 포함되어 있으며, 신앙 예배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약의 모형들을 연구할 때는 하나님께서 계시하신 각각의 신적 경륜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이 .. The Typology of Scripture_7장. The Place Due to The Subject of Typology as A Branch of Theological Study, and The Advantages Arising from its Proper Cultivation (신학 연구의 한 분야로서의 모형론의 위치와, 그 적절한 연구가 주는 이점) Chapter Seventh. The Place Due to The Subject of Typology as A Branch of Theological Study, and The Advantages Arising from its Proper Cultivation. 제7장 요약: 신학 연구의 한 분야로서의 모형론의 위치와, 그 적절한 연구가 주는 이점1. 모형론의 역사적 위치와 기존 문제점오랫동안 모형론(Typology)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제한적인 적용이 이루어져 왔다.특히 최근까지도 구약의 모형을 최소한으로 축소하고, 그 중요성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었다.신학적 논의에서 모형론은 부차적인 주제로 취급되었으며,신학자들은 모형론의 장점을 탐구하기보다는오용을 경계하고 오류를 지적하는 데만 집중했다.그러나 모.. The Typology of Scripture_6장. The Interpretation Of Particular TypesSpecific Principles And Directions. Chapter Sixth. The Interpretation Of Particular Types: Specific Principles and Directions. 제6장. 특정 모형의 해석: 구체적인 원칙과 지침 앞서 모형론(Typology)의 기본 원리와 예언과의 관계를 다루었다면, 이번 챕터에서는, 특정한 모형들을 해석하는 방법과 원칙을 논의하게 된다.이번에도, 전문과 그 초벌 번역에 앞서, 6장 "요약"부터 올리자면... 제6장 요약: 특정 모형(타입)의 해석 – 구체적인 원칙과 지침과거 신학자들의 모형론(typology)에 대한 주요 비판 중 하나는 특정 모형을 해석하는 데 있어 확고한 기준이 없었다는 점이었다.모형을 해석하는 명확한 원칙이 없었기 때문에, 해석자들마다 자의적인 방식으로 해석하는.. The Typology of Scripture_5장. Prophetical Types, or The Combination ofType with Prophecy Prophetical Types, or The Combination of Type with Prophecy: Alleged Double Sense of Prophecy.전문과 번역에 앞서, 이 챕터의 요약 노트부터 올리자면 다음과 같다예언적 모형(Prophetical Types), 예언과 모형의 결합성경에서 예언적 모형(Prophetical Types)이란, 성경의 특정 인물, 사건, 제도 또는 제의가 미래의 더 위대한 실체를 예표하는 방식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의미한다.즉, 하나님께서 역사 속에서 특정한 사건이나 제도를 사용하여, 장차 올 더 큰 실체(반모형, Antitype)를 미리 보여주시는 방식.이러한 예언적 모형들은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장차 성취될 예언의 구조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The Typology of Scripture_4장. 모형론의 본질과 범위 (3) 4장 요약:모형론과 성육신에 대한 신학적 고찰이 진행됨. 성육신은 구속 계획의 중심적 요소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를 달리 해석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반성경적이라는 내용. Chapter Fourth. The Proper Nature and Province of Typology (3)part3. God's Work in Creation, how Related to The Incarnation and Kingdom Of Christ?THE analogy presented near the close of the preceding chapter—in an extract from Hugh Miller[1]—between pre-Adamite formations in the animal kingdom, rising s.. The Typology of Scripture_3장. 모형론의 본질과 범위 (2) https://archive.org/details/typologyofscript01fairiala/page/62/mode/2up Chapter Third. The Proper Nature and Province of Typology part2. 2. The Historical Characters and Transactions of The Old Testament, Viewed as Exemplifying The Distinctive Characters of a Typical Relationship--Typical Forms in Nature Necessity of The Typical as a Preparation for The Dispensation of The Fulness of Times. IN.. The Typology of Scripture_ 2장. 모형론의 본질과 범위(1) 모형론(Typology)적 성경해석의 원리에 대한 연구 by Patrick Fairbairn, 1847. 원문 출처 링크https://archive.org/details/thetypologyofscr01fairuoft/page/n3/mode/2up 2장. 모형론의 본질과 범위Chapter Second. The Proper Nature and Province of Typology.2장에서는, 성경 해석의 "모형론"의 본질과 영역을 정의하고 설명한다. 모형론이란 구약의 인물, 사건, 또는 의식이 신약에서 성취되는 진리를, 상징하는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저자는 "유형, 모형(type)"이라는 단어의 성경적 사용과 신학적 사용을 비교하면서, 진정한 모형론적 관계를 정의한다. 또한, 구약의 종교적 제.. The Typology of Scripture_1장. 모형론 역사 1장 요약.제1장 요약: 신학적 견해의 역사적·비판적 개관(Historical and Critical Survey of the Past and Present State of Theological Opinion on The Subject)이 장에서는 성경의 모형론(Typology of Scripture)에 대한 신학적 견해의 역사적 흐름과 현재의 논의 상황을 살펴보며, 그 중요성과 올바른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다. 1. 초기 교회의 모형론 이해초대 교회(사도 및 교부 시대)는 구약을 신약의 그림자이자 예표로 보고, 모든 사건과 제도가 그리스도를 가리킨다고 해석했다.대표적인 교부인 오리겐, 아우구스티누스 등은 알레고리적 해석을 적극적으로 사용했으며, 구약의 다양한 요소를 신약의 영적 진리와 연결했다.그러나 알..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