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처치 설교및 강의/성경신학관련 노트정리 (13) 썸네일형 리스트형 모세 시대의 이집트 정치 요약_왕가 이야기 👑 1. 이집트 제18왕조 왕실 계보도 (중심: 투트모세1세~하트셉수트) 투트모세 1세 (Thutmose I) │ ┌────────────┴────────────┐하트셉수트 (Hatshepsut) 투트모세 2세 (Thutmose II) │ │ └────────────┐ │ 결혼 │ ↓ 투트모세 3세 (Thutmose III) ↓ 아멘호텝 2세 (Amenhotep II)📝 요약.. 창세기 9장을 읽다가 떠오른 2가지 질문과 그 대답: (1) 350&900?; (2) "하체를 보고"? Q1. 창세기 9장의 마지막부분에서, 노아의 년수, 그러니까 "홍수 후의 350년 세월"과, "총 나이 950세"를 밝히는 이유가 있을까?[28] 홍수 후에 노아가 삼백 오십년을 지내었고 [29] 향년이 구백 오십세에 죽었더라 (창 9:28-29)① 노아의 생애 전체를 정리하는 의미창세기에서 특정 인물의 생애를 마무리할 때, 그의 전체 수명을 기록하는 방식이 종종 사용된다. 이는 노아의 삶을 역사적으로 정리하고, 후대 이스라엘 백성이 기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학적 서술 방식이다. ---- 예: 아브라함(창 25:7), 이삭(창 35:28-29), 야곱(창 47:28).② 홍수 이전과 이후의 연결성"홍수 이전의 삶" : "홍수 이후의 삶"을 명확히 구분하는 데에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 홍수 전 .. 노아는 방주 안에서 얼마나 기다렸을까요? 창세기 기록에 따른 방주 안에 머문 기간: 370일 홍수가 시작된 날: 노아가 600세 되던 해, 둘째 달 17일 (창 7:11). 물이 땅에서 150일간 점점 줄어들고, 일곱째 달 17일에 아라랏 산 도착 (창 8:3-4)산들이 드러남: 물이 점점 줄어들어 열째 달 1일에 산들의 봉우리 보이기 시작 (창8:5)홍수가 시작된 지 약 224일(10월 1일경) 만에 산 봉우리가 보이기 시작.아라랏 산 도착 40일 후(264일), 노아가 까마귀와 비둘기를 보냄 (창 8:6-12)이후 7일 간격으로 비둘기를 두 번 더 보냄 (271일, 278일) 601년 1월 1일 (314일) 땅이 말랐음을 확인 (창 8:13)601년 2월 27일 (370일)방주에서 나온 날 (창 8:14-16) 창세기 8:14-16 → “.. 창세기 주석 PDF모음 B R1800^ACRITICAL AND EXEGETICALCOMMENTARYTHE BOOK OF GENESIS.A NEW TRANSLATION.j/G. MURPHY, D.D., T.C.D.,PROFESSOR OP HEBREW, BELFAST.WITHA PREFACEBy J. P. THOMPSON, D. D.NEW YORK CITY.%xxhifotx:WARREN F. DRAPER.BOSTON: GOULD & LINCOLN. NEW YORK: HUED & HOUGHTON.PHILADELPHIA: SMITH, ENGLISH, AND COMPANY.CINCINNATI: GEO. S. BLANCHABD &CO.1866.-3$^3^\Entered according to Act of Congress, in the y.. 수리학(Numerology)이란? 수리학(Numerology)이란?숫자가 우주와 인간의 삶에서 특정한 의미와 상징을 가진다고 해석하는 학문.고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활용되었으며, 철학적, 신비적, 종교적 요소가 결합된 분야였음.1. 기원과 역사(1) 피타고라스와 서양 수리학피타고라스(Pythagoras, 기원전 570~495년경)는 숫자가 우주의 근본적인 원리라고 주장.그는 "모든 것은 숫자로 설명될 수 있다"는 개념을 발전시켰음 (피타고라스 수리학)그는 숫자마다 특정한 성격과 에너지가 있다고 믿었음. (2) 히브리어 게마트리아(Gematria)히브리어 문자에는 각각 숫자 값이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성경적 메시지를 해석하는 기법.예: "아담(אדם)"의 게마트리아 값 = א (Aleph) = 1 ; ד (Dalet) = 4 ; ם (.. 한자와 숫자의 연관성: 발음과 의미가 연결된 사례 한자와 숫자의 연관성: 발음과 의미가 연결된 사례한자 문화권(한국, 일본, 대만, 중국...)에서는 숫자의 발음이 특정 단어와 유사하게 들림.▶ 중국의 예를 들자면...중국에서는 888이 "큰 부(發財, fācái)"를 상징하여 전화번호, 차량번호, 건물층수에서 매우 선호됨.기업명에서도 숫자 8을 활용한 경우 많음 (예: 중국 항공사 "8항공(八航空)")."88위안 할인"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의미)차량 번호판, 전화번호, 아파트 층수에 8이 포함된 번호는 고가에 거래됨.666은 "顺顺利利 (shùnshùn lìlì, 모든 것이 잘 풀린다)"와 연결되어 긍정적 의미로 사용됨.중국 호텔과 아파트에서는 **4층(四楼)**을 3A, 3B로 표기하여 피하는 경우 많음.차량 번호판, 전화번호에서 "4"가 포함된.. 솔로몬의 "맹세"는 옳았을까? (왕상 2:23-24) 아도니야는 왕위에서 밀려난 다음에도 여전히 왕위 찬탈을 시도한다. 그는 다윗의 첩, 수넴 여자 아비삭을 달라고 요구한다.이 요구는 왕권에 대한 요구와 같은 것이었다. 이 요구를 들은 솔로몬은 아도니야를 죽이라고 명령한다. 그러나 이때 솔로몬의 표현중에 "여호와를 두고 맹세"한다는 말이 2번이나 등장한다(열왕기상 2:23, 24). 성경은 이런 식의 맹세를 금지하고 있다.너는 네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게 부르지 말라 여호와는 그의 이름을 망령되게 부르는 자를 죄 없다 하지 아니하리라 (출 20:7)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도무지 맹세하지 말지니 하늘로도 하지 말라 이는 하나님의 보좌임이요 (마 5:34). 왕이 된 솔로몬이 권력의 실행을 위해 "하나님을 두고 맹세"하는 것은 이상해보인다. 이 상황.. 솔로몬은 왜 밧세바를 "오른편"에 앉혔을까? (왕상 2:19) 열왕기상 2장 19절에서 ‘오른쪽에 앉히는 것’의 의미본문:밧세바가 아도니야를 위하여 솔로몬 왕께 말하려 하여 들어오니 왕이 일어나 맞이하며 절하고 왕의 보좌에 앉고 왕의 어머니를 위하여 자리를 베푸니 그가 왕의 오른쪽에 앉는지라 (왕상 2:19)1. 당시의 문화에서 ‘오른쪽’의 의미고대 근동(ANET, Ancient Near Eastern Tradition)에서 오른쪽 자리는 명예와 권위의 자리를 의미했음. 이는 성경뿐만 아니라 당시의 왕권 체계에서도 중요하게 여겨졌던 문화 맥락을 가지고 있음.(1) ‘오른쪽’은 권위와 권세의 자리왕이 오른쪽에 앉힌 사람은 단순한 손님이 아니라 왕과 함께 통치하거나 중요한 정치적 권위를 가진 인물로 여겨졌다.예를 들어, 이집트와 바벨론에서도 왕의 오른편에 앉은 사람은 .. 창 4:16-26에 등장하는 히브리어 이름들 정리 창세기 4장 16절부터 26절까지 등장하는 인물들의 히브리어 이름과 그 의미. 1. 가인 (קַיִן)"창조하다", "소유하다", "얻다"의 뜻을 가진 동사 קָנָה (콰나)에서 유래.하와가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창 4:1)라고 말한 것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보임.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얻은 생명이라는 의미지만, 살인 후 "하나님을 떠나 방황하는 자"가 됨.2. 에녹 (חֲנוֹךְ) חָנַךְ (ḥānak): "헌신하다", "훈련하다", "봉헌하다" ▶ 헌신된 자, 훈련된자, 가르침을 받은 자, 봉헌된 자가인이 자신의 아들의 이름을 따서 성을 쌓고 이름을 지어줌 (창 4:17). 뒤에 등장하는 하나님과 동행한 에녹(창 5:24)은 다른 인물.창세기 4장과 5장의 두 에녹 비교구분가인의 .. "무조건적 은혜 아래 있는 조건적 은혜"에 대한 Matt Marino 목사의 설명을 들어보았다. https://www.sermonaudio.com/sermons/119252237151898/a?autoplay=true&popout=true The King of GloryDr. Larry Oldham | Grace Church (PCA)www.sermonaudio.com 1 아브람이 구십구 세 때에 여호와께서 아브람에게 나타나서 그에게 이르시되 나는 전능한 하나님이라 너는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하라2 내가 내 언약을 나와 너 사이에 두어 너를 크게 번성하게 하리라 하시니9 하나님이 또 아브라함에게 이르시되 그런즉 너는 내 언약을 지키고 네 후손도 대대로 지키라(창 17:1-2, 9)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창세기 12~15장에는, 무엇을 "하라"는 명령이 없었다.그저 하나님께서 복을 주시겠다는 약속.. 조건부 은혜 + 무조건부 은혜 조건부 은혜와 무조건부 은혜: 구약성경신학적 맥락에서의 정리구약성경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과 관계를 맺으시는 방식에서 "조건부 은혜"와 "무조건부 은혜"라는 개념을 함께 보여준다. 이 두 개념은 하나님의 성품과 그의 구원 계획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신학적 틀을 제공한다.조건부 은혜 (Conditional Grace): "순종과 책임"을 강조하며, 주로 율법과 언약적 관계를 설명할 때 사용됨.무조건부 은혜 (Unconditional Grace): "하나님의 주권적 선택"을 강조하며, 언약의 일방적 실행을 설명할 때 사용됨.이 두 표현은 구속사적 관점(Redemptive Historical Perspective)에서 조화를 이루며, 특히 신약에서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되는 구약의 은혜 개념을 이해하는 데 중.. 아도니아는 왜 제단 뿔을 붙잡았나요? (왕상 1:50) "제단 뿔"을 붙잡는 것의 구약적 의미 구약성경에서 "제단 뿔"은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가진다. 제단 뿔은 구원과 피난처의 개념과 연결된다. 열왕기상 1:50에서 아도니야가 제단 뿔을 붙잡은 것은 죽음의 위기 속에서 피난처를 찾으려는 행위였다.이에 대해 이해하려면 제단 뿔의 상징성과 관련된 구약의 배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1. 제단 뿔의 상징적 의미제단의 뿔은 성막이나 성전에 있는 번제단의 네 모서리에 있는 뿔처럼 돌출된 구조물이다 (출 27:2; 38:2).이 뿔들은 속죄의 피를 뿌리는 곳으로 사용되었다(레 4:7). 따라서 속죄와 하나님의 자비를 상징한다.한편, 뿔은 성경에서 종종 힘과 구원의 상징으로도 나타난다(삼상 2:10, 시 18:2).2. 제단 뿔을 붙잡는 것의 의미제단 뿔을 붙잡는 행위는..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 בְּנָיָהּ, Benaiah, 왕상1:36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 (Benaiah son of Jehoiada)브나야는 다윗과 솔로몬 시대에 신실하고 용맹스러운 군사 지도자로서 하나님의 섭리를 이행하는 도구로 사용된 인물이며, 그의 이름과 아버지의 이름 모두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를 반영한다. 브나야 (Benaiah)브나야는 열왕기상 1장 36절에서 언급된 인물로, 다윗 왕의 충실한 신하이자 군사 지도자였다.그는 다윗의 개인 경호부대인 그렛 사람과 블렛 사람의 대장을 맡았으며, 솔로몬 왕국 초기에는 군대 총사령관으로 승진한다(열왕기상 2:35).브나야는 다윗의 명령에 따라 솔로몬의 정적들을 처단하는 중요한 역할도 수행했다. 그는 강한 신앙과 용맹으로 다윗 왕과 솔로몬 왕에게 신뢰받은 인물이다.히브리어 뜻브나야 (בְּנָיָהּ, Benaiah)"..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