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C 씨즌2 - 2주차 과제]
Q. 성경에 의하면 "내가" 교회를 해야 하는가?
- "왜 내가" 해야하는가?
- 혹은 "왜 나는 안해도 되"는가?
여기에 Yes or No 대답하신 후,
그 대답에 대한 성경구절 근거 3구절 이상 찾아 적어오기.
[CPC 씨즌2 - 3주차 내용]
-발표하고, 그룹별 나누기.
-적어온 내용중 비성경적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는가?
-기타, 숙제 적어온 것에 대해 질문 더 있는 사람?
네 생각에는 이 세 사람 중에 누가 강도 만난 자의 이웃이 되겠느냐 이르되 자비를 베푼 자니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가서 너도 이와 같이 하라 하시니라 (눅10:36-37)
-숙제 적어온대로 나는 당장 무엇을 행할 수 있는가? => 떠오르는대로 다 적기 => 그룹별 발표
-만약 적어온것을 행할 수 없다면 그 장벽/ 방해요소는 어떤 것이 있는가? => 적고 발표
-그 장벽/방해요소를 어떻게 미리 대처할 수 있는가? => 적고 발표
----------------------------
갈릴리에 모일 때에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인자가 장차 사람들의 손에 넘겨져
죽임을 당하고 제삼일에 살아나리라 하시니 제자들이 매우 근심하더라
(마17:22-23)
이는 제자들을 가르치시며 또 인자가 사람들의 손에 넘겨져 죽임을 당하고 죽은 지 삼 일만에 살아나리라는 것을 말씀하셨기 때문이더라 그러나 제자들은 이 말씀을 깨닫지 못하고 묻기도 두려워하더라 (막9:31-32)
이 말을 너희 귀에 담아 두라 인자가 장차 사람들의 손에 넘겨지리라 하시되 그들이 이 말씀을 알지 못하니 이는 그들로 깨닫지 못하게 숨긴 바 되었음이라 또 그들은 이 말씀을 묻기도 두려워하더라 (눅9:44-45)
가버나움에 이르니 반 세겔(δίδραχμα) 받는 자들(λαμβάνοντες)이 베드로에게 나아와 이르되 너의 선생은 반 세겔(δίδραχμα)을 내지 아니하느냐 (마17:24)
디드라크몬 동전
[1세기 예루살렘 성전세의 기원] - 출30의 "반세겔" + 느헤미야 10&13의 "헌신" ??
Q.율법에 "성전세"내란 말이 있었나?
-(출30:11-16) "반세겔" - 속전으로 내라, 회막 봉사에 씀.
-그러나 매년 내라는 이야기는 없었음. 일회적이었음.
Q.그렇다면 느헤미야가 기원인가?
우리가 또 스스로 규례를 정하기를 해마다 각기 세겔의 삼분의 일을 수납하여 하나님의 전을 위하여 쓰게 하되 (느10:32)
-이것은 하나님의 명령이었나? => NO. 오히려, 하나님의 선택과 소명에 대한 하나의 "자발적 헌신"이었음.
또 정한 기한에 나무와 처음 익은 것을 드리게 하였사오니
내 하나님이여 나를 기억하사(זָכְרָה־) 복을 주옵소서 (느13:31)
자칼~ : "인치다"
그렇다면 왜? => 매년 장자 한명분의 품값 1드라크마+ 로마에 내는 세 1드라크마 = 반세겔.
예) 15명 세례교인 + 교회임대차계약서 => "왜??"
예) 교회별 세례헌금to총회는 왜?
Q. 제사장은 성전세 어떻게 내는가?
그 소제물의 남은 것은 아론과 그의 자손에게 돌릴지니 이는 여호와의 화제물 중에 지극히 거룩한 것이니라 (레2:3)
제사장의 모든 소제물은 온전히 불사르고 먹지 말지니라 (레6:23)
=> 성전세는 자발적 헌금이어야 맞다.
"반 세겔 받는자들" (람바논테스)
돈 바꿔줌. 같은 가치의 돈 역시 "디드라크몬"이라고 불러줌.
그들의 질문: "너희 선생(라바이)은 반 세겔을 내지 아니하느냐? (24)"
강압도, 권유도 아님. 너무 당연하다는 듯....
25 이르되 내신다 하고 집에 들어가니
예수께서 먼저 이르시되
시몬아 네 생각은 어떠하냐 세상 임금들이 누구에게 관세와 국세를 받느냐 자기 아들에게냐 타인에게냐?
Q. 누구집? "시몬집"?
예수께서 이르시되 여우도 굴이 있고 공중의 새도 거처가 있으되 인자는 머리 둘 곳이 없다 하시더라 (마8:20)
나사렛을 떠나 스불론과 납달리 지경 해변에 있는 가버나움에 가서 사시니 (마4:13)
그의 집에 앉아 잡수실 때에 많은 세리와 죄인들이 예수와 그의 제자들과 함께 앉았으니 이는 그러한 사람들이 많이 있어서 예수를 따름이러라 (막2:15)
예수께서 돌이켜 그 따르는 것을 보시고 물어 이르시되 무엇을 구하느냐 이르되 랍비여 어디 계시오니이까 하니 (랍비는 번역하면 선생이라) 예수께서 이르시되 와서 보라 그러므로 그들이 가서 계신 데를 보고 그 날 함께 거하니 때가 열 시쯤 되었더라 (요1:38-39)
예수님 집에서 세금 질문 to 베드로.
(*전에 이야기 했듯, 예수님과의 대화: 어느 장소에서 말씀하시는지는 매번 매우 중요함)
26 베드로가 이르되 "타인에게니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그렇다면 아들들은 세를 면하리라"
베드로의 대답을 요구하신 예수님: 베드로의 믿음에 대한 질문이었음을 알 수 있다.
베드로의 최초 질문부터 다시 생각해보자:
"예수님... 저사람들이 그랬어요. 세금 내라는데요? 어쩔까요?"
예수님은 이에 답하지 않고 반문 - "아들"이야기 하심.
성전의 주인은 람바논테스(24절. 받는 자들(λαμβάνοντες))가 아니라, 하나님이심.
"예수님을 하나님의 아들로 믿는가?"
"예수님이 성전세보다 더 뛰어나신 존재라고 진짜 받아들이고 있는가?"
"예수님이 OOO법보다 더 위에 계신 존재임을 믿는가?"
=> 온 세상이 다 하나님의 것이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이다. 그분이 함께 있다. 불합리한 세금보다 큰분이 함께 계신다. 게다가 그분은 성전의 주인!
=> 그렇다면 세금 안내도 되겠네??
예) Q. 내가 투표하지 않은 정당이, 내가 원하지 않는 정책을 위해 쓸 용도로 세금 걷을때 나는 내야 하나?
이에 대한, 예수님의 말씀은.....
그러나 우리가 그들이 실족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네가 바다에 가서 낚시를 던져 먼저 오르는 고기를 가져 입을 열면 돈 한 세겔을 얻을 것이니 가져다가 나와 너를 위하여 주라 하시니라
(마17:27)
세금 내는 이유 => "그들이 실족하지 않게 하기 위해"
(1) 우리는 불합리한 교회법/ 세상 법 "아래"있지 않다. 그들보다 "위에"있다.
(2) 그렇다면 불합리한 법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
=> 그 법을 만들어내는 사람들과 그 사회의 복잡다난한 문제들을 같은 방법(법적 대처)으로 헤쳐 나가는 것 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Q. 왜 낚시인가?
*Q. 왜 물고기 입 안에 있는 "한 세겔"(혹은, 디드라크몬 동전 4개)인가?
(3) 그것은 "사람 낚는 어부"되는 일이다 (마4:17-19)
법 수정에 대한헌신 VS 그 법이 필요없어지도록 세상을 바꾸는 일에 대한 헌신
"성전세"에만 해당되는 거 아님.
세상 법 관련된 돈 문제에도 그리스도인의 "초월적 자세"가 해당 됨.
"이르되 가이사의 것이니이다 이에 이르시되 그런즉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하시니" (마22:21).
세금을 내냐 마냐를 초월한 사람들의 존재.
나눔을 위한 본문 점검 리스트
(1) 문제: 성전세는 이도 저도 아닌 불합리한 법이었다. 당신에게 "성전세"와 같은 문제, 불합리한 법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2) 진실: 이 법에 대해 질문이 있는 제자들에게 예수님은 그 법 이상의 것에 대해 질문하셨다. 당신은 교회나 세상의 문제 자체를 해결하는 일에 헌신하고 싶은가? 아니면, 그런 문제들을 만들어낸 사람들을 바꾸시려는 예수님께 헌신하고 싶은가?
(3) 변화: 그렇게 예수님께 헌신하는 방법으로써, 당신에게 익숙한 일(그물 던져 물고기 잡는 어부의 일)을 어떻게 다르게 (낚시) 하고 있는가?
(4) 기적: 그렇게 낚아 올린 첫번째 물고기의 입 속에, 예수님과 나를 위해 세상 법에 내 놓아야 할 "한 세겔"에 대해 들었을 때, 당신에게 떠올랐던 생각이나 새로운 아이디어가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기도회
'웨이처치 설교및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수님과 돈 week5] 일만 달란트 빚진 자 (마18:1-35) (7/26 웨이처치 검암동교회 주일예배 모임 노트) (0) | 2020.07.25 |
---|---|
LWM 집회설교노트(7/28) (0) | 2020.07.22 |
부자청년이야기part2. (0) | 2020.07.04 |
우리가 교회라고 말하려면... week3 (0) | 2020.04.07 |
젠틀맨리그 강의안 (0) | 2020.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