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7년 유엔 결의안 181호(팔레스타인 분할 계획)은 팔레스타인 지역을 유대인 국가와 아랍인 국가로 분할하고, 예루살렘을 국제 관리하에 두는 것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결의안이었다. 이는 당시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유대인과 아랍인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유엔이 제안한 방안이었다.
1. 유엔 결의안 181호의 핵심 내용
1947년 11월 29일, 유엔 총회에서 결의안 181호가 33표 찬성, 13표 반대, 10표 기권으로 통과되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팔레스타인 지역을 유대 국가와 아랍 국가로 분할
유대인 국가(이스라엘) → 약 56.47%
당시 유대인 인구는 약 60만 명(전체 팔레스타인 인구의 약 33%)이었으나, 상대적으로 많은 면적이 배정됨.
주요 지역: 갈릴리, 네게브 사막, 텔아비브 및 일부 해안 지역
아랍 국가(팔레스타인) → 약 43.53%
당시 팔레스타인 아랍인은 약 120만 명(전체 인구의 약 67%)으로, 상대적으로 더 적은 땅을 배정받음.
주요 지역: 웨스트뱅크(요르단강 서안), 가자 지구, 유대산악지대.
예루살렘과 베들레헴 → 국제 관리 지역(Corpus Separatum, 1%)
종교적으로 중요한 지역인 예루살렘과 베들레헴은 국제연합(UN)이 특별 행정구역으로 관리하기로 결정함.
2. 유엔 분할안의 지도
결의안 181호에서 제시한 국경은 현재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국경과는 다르다.
당시 유엔이 제안한 지역 배분을 보면, 유대 국가와 아랍 국가의 영토가 서로 뒤섞여 있는 형태였고, 연속성이 부족했다.
유대 국가의 영토는 네게브 사막을 포함하여 남쪽과 북쪽으로 분리되어 있었음.
아랍 국가의 영토도 유대 국가에 둘러싸여 있는 형태가 많았음.
예루살렘은 양측의 분쟁을 막기 위해 국제 관할 지역으로 설정됨.
3. 왜 유대인 국가가 전체 땅의 56%를 받았는가?
당시 유대인들은 전체 인구의 33%밖에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영토의 56%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네게브 사막 포함 → 실제 거주 가능 지역은 훨씬 적음
유대인들에게 배정된 땅 중 약 60%는 거주가 불가능한 사막 지역(네게브 사막)이었음.
따라서 실질적으로 보면 유대인에게 배정된 거주 가능 지역은 그리 넓지 않았음.
(2) 유대인 이민자 수용 고려
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 팔레스타인으로 유대인들이 대거 이주하고 있었고, 이들의 거주지를 고려해야 했음.
(3) 경제적 중요도 고려
유대인들이 주로 정착한 지역은 경제적으로 발전한 해안 지역(예: 텔아비브, 하이파)이었으며, 이는 유대인들이 이미 해당 지역에서 경제적 주도권을 가지고 있었음을 반영함.
4. 아랍 국가들의 반응
아랍 국가들은 유엔 분할안을 강력히 반대했음.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은 유대 국가 수립을 인정할 수 없었으며, 기존의 팔레스타인 영토를 계속 유지하기를 원함.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이라크 등 아랍 국가들은 결의안이 통과된 후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을 준비함.
결국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이 독립을 선포하자, 즉시 제1차 중동 전쟁(아랍-이스라엘 전쟁, 1948)이 발발함.
5. 유대인들의 반응
유대인 지도부는 유엔의 분할안을 수용하였음.
데이비드 벤구리온을 비롯한 이스라엘 지도자들은 유엔 결의안 181호가 국제 사회에서 유대 국가의 합법성을 인정받는 중요한 결정이라고 보았음.
하지만 유대 극단주의자들(예: 이르군, 레히) 중 일부는 유엔이 배정한 땅보다 더 넓은 지역을 차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음.
6. 정리: 유엔 결의안 181호의 영향
(1) 유대 국가 설립의 국제적 정당성 확보
유엔이 공식적으로 유대 국가 수립을 승인함으로써 이스라엘 건국의 법적 정당성이 강화됨.
(2) 아랍-이스라엘 갈등의 심화
아랍 국가들은 이 결정을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곧바로 전쟁으로 이어짐.
이스라엘은 전쟁에서 승리하며 유엔이 배정한 것보다 더 많은 영토를 확보함.
(3) 예루살렘 문제의 지속적인 분쟁 요소화
예루살렘이 국제 관리 지역으로 설정되었으나, 결국 1948년 전쟁을 통해 서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이, 동예루살렘은 요르단이 차지하게 됨.
정리하자면, 유엔 결의안 181호는 이스라엘 국가 설립의 중요한 법적 근거가 되었지만, 아랍 국가들의 반대로 인해 실제로 분할 계획이 실행되지 못하고 전쟁으로 이어졌다.
'웨이처치 설교및 강의 > 헤브론 성경통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 이스라엘 국가의 탄생 역사 이야기 (0) | 2025.03.16 |
---|---|
냉전 초기 소련의 친-유대 정책에 대해 (0) | 2025.03.16 |
헤브론 성경통독 2주차. 율법서1. 하나님의 구원계획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여자의 후손 이야기 (0) | 2025.03.09 |
1. 왜, 어떻게 성경통독을 해야 할까? (2025.1학기.성경통독. 1주차. 3/3) (0) | 2025.03.03 |
선데이클럽 에세이 "끝까지가라를 읽고"(권하람) (0) | 2024.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