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및 강의/헤브론 성경통독

냉전 초기 소련의 친-유대 정책에 대해

소련은 초기에 이스라엘의 건국을 강력히 지지했지만, 곧바로 정책을 변경하여 이스라엘과 대립하는 입장으로 돌아섰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당시 국제 정세와 소련의 정책 변화를 단계별로 살펴보자.

 

1. 초기 소련의 이스라엘 지지 (1947~1948년)

(1) 소련이 시오니스트를 지지한 3가지 이유 

a. 영국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한 전략적 계산

당시 팔레스타인은 영국이 위임통치하고 있었고, 아랍 국가들은 영국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소련은 유대 국가를 지지함으로써 영국이 중동에서 철수하도록 유도하고자 했다.

즉, 영국의 패권을 약화시키고 중동에서 새로운 세력을 형성할 기회를 모색한 것이다.

 

b. 홀로코스트 이후 유대인 국가 건설에 대한 도덕적 정당성 인정

소련은 나치 독일과 싸운 주요 승전국으로서, 홀로코스트의 피해자였던 유대인들에게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실제로 소련 내에도 유대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고, 공산주의자들 중 일부는 시오니즘과 연대감을 느끼고 있었다.

 

c. 사회주의 성향의 유대인 지도자들과의 연대 기대

이스라엘 건국 초기, 많은 유대인 지도자들은 사회주의적 성향을 보였다.

데이비드 벤구리온(David Ben-Gurion)과 같은 지도자들은 노동당(Labor Party) 계열이었고, 소련은 이들을 좌파 동맹 가능성이 있는 세력으로 보았다.

 

(2) 소련의 유대인 지원 방식 2가지 

a. 유엔에서 팔레스타인 분할안(UN Resolution 181) 지지

1947년 유엔 결의안 181호(팔레스타인 분할 계획)가 채택될 때, 소련과 동유럽 국가들은 적극적으로 유대인 국가 설립을 지지했다.

유엔에서 소련 대표 안드레이 그로미코(Andrei Gromyko)는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국가를 가질 권리가 있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b. 이스라엘에 무기 제공 (체코슬로바키아 경유)

이스라엘이 건국 전후로 아랍 국가들과 전쟁을 치를 것이 예상되었고, 미국과 영국은 이스라엘에 대한 무기 지원을 꺼려했다.

이때 소련이 체코슬로바키아를 통해 이스라엘에 대량의 무기를 공급하며 군사적으로 지원했다.

소련제 무기와 탄약은 1차 중동 전쟁(1948~1949)에서 이스라엘이 승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소련의 정책 변화 (1949~1950년대 초반)

(1) 이스라엘의 미국 편향

이스라엘 건국 이후, 미국과 이스라엘의 관계가 급격히 가까워졌다.

이스라엘의 경제적, 군사적 지원을 받는 주요 국가는 미국이었으며, 이는 소련이 원했던 방향과는 반대였다.

냉전이 심화되면서 소련은 이스라엘을 서방 진영(특히 미국)과 가까운 국가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2) 이스라엘과 소련의 관계 악화

1950년대 초반, 이스라엘 내 공산주의 정당(마파이당, MAPAI)이 주류가 되지 못하고, 친미적 성향의 정책이 강화되었다.

이스라엘이 나토(NATO)와 미국 중심의 서방 블록에 점점 가까워지자, 소련은 이스라엘을 외교적으로 비판하기 시작했다.

 

3. 소련의 친아랍 정책 (1950년대 이후)

(1) 아랍 세계와의 관계 강화를 통한 반미 전략

1950년대 들어 소련은 미국과 경쟁하는 전략으로 아랍 국가들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소련은 이집트, 시리아, 이라크 등 여러 아랍 국가들에게 무기와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며 반이스라엘 노선을 강화했다.

대표적으로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Gamal Abdel Nasser) 대통령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중동에서 소련의 영향력을 확대했다.

 

(2) 이스라엘과의 관계 단절

1956년 수에즈 위기(Suez Crisis) 당시, 이스라엘이 영국과 프랑스와 함께 이집트를 공격하자 소련은 강하게 반발했다.

이후 소련과 이스라엘 간의 외교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으며, 1967년 6일 전쟁(Six-Day War) 이후 소련은 이스라엘과 완전히 단교하고 아랍 국가들을 본격적으로 지원했다.

 

정리: 소련의 전략적 변신 과정 

(1) 초기(1947~1948년): 영국의 영향력을 줄이고, 사회주의적 성향의 유대 지도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이스라엘 독립을 지지하고 군사적으로 지원함.
(2) 전환기(1949~1950년대 초반): 이스라엘이 미국과 가까워지면서 소련과 이스라엘 간의 관계가 악화됨.
(3) 이후(1950년대 후반~): 중동에서 친아랍, 반이스라엘 정책을 공식화하고 아랍 국가들에게 대규모 군사적, 경제적 지원을 제공함.

결과적으로, 소련은 초기에 이스라엘을 지지했지만, 냉전 체제가 본격화되면서 이스라엘이 미국의 동맹국이 되자 아랍 국가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변경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