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이집트 제18왕조 왕실 계보도 (중심: 투트모세1세~하트셉수트)
투트모세 1세 (Thutmose I)
│
┌────────────┴────────────┐
하트셉수트 (Hatshepsut) 투트모세 2세 (Thutmose II)
│ │
└────────────┐ │
결혼 │
↓
투트모세 3세 (Thutmose III)
↓
아멘호텝 2세 (Amenhotep II)
📝 요약 관계
- 투트모세 1세: 하트셉수트와 투트모세 2세의 아버지 (다른 왕비 사이에서 자녀를 둠)
- 하트셉수트 + 투트모세 2세: 이복남매 결혼, 왕위 계승 강화
- 투트모세 3세: 투트모세 2세와 측실 사이의 아들 (하트셉수트의 양아들, 공동섭정이자 후계자)
🏛️ 2. 정치적 특징 비교표
인물 재위 기간 정치 스타일 주요 특징 유산
투트모세 1세 | BC 1506~1493 | 군사적 정복 통치 | - 누비아, 시리아 원정 |
- 제국 확장
- 왕권 강화 | 제국의 기초 구축
왕실 무덤 제도 정립 (왕가의 계곡) | | 투트모세 2세 | BC 1493~1479 | 약한 통치자 | - 하트셉수트에 의존 - 단명, 병약 추정 | 하트셉수트의 집권 기반 제공 | | 하트셉수트 | 공동섭정 BC 1479~, 단독통치 BC 1473~1458 | 평화적·경제 중심 통치 | - 여성 파라오로 즉위
- 신의 딸 이미지 활용
- 무역(폰트 원정), 건축 사업(데이르 엘 바하리 신전) | 여성 지도력의 대표
문화예술과 경제 번영의 상징 |
🔍 추가 설명
✅ 투트모세 1세
- 전쟁의 왕: 강력한 군사 확장 정책으로 고대 이집트 영토를 최대로 넓힘
- 왕권 집중: 귀족 세력 약화, 왕권 기반 강화
✅ 투트모세 2세
- 병약한 중간자: 실권은 하트셉수트에게 넘어감
- 하트셉수트가 정치 주도권을 쥐도록 허용한 존재
✅ 하트셉수트
- 여성 파라오로서의 혁신: 남성의 상징(수염, 칼 등)을 사용하며 파라오로 등극
- 신화적 정통성 강조: "아멘신이 직접 잉태시켰다"는 신화로 신적 권위 확보
- 무력 대신 내치: 전쟁보다 무역, 예술, 건축 등 국가 안정과 번영에 집중
📌 정리: 이들의 관계성과 통치 방식 비교 요약
기준 투트모세 1세 투트모세 2세 하트셉수트
가계 관계 | 아버지 | 아들 | 딸 (그리고 며느리/공동 통치자) |
권력 성향 | 군사적 강경파 | 약한 과도기 왕 | 내치 중심 실력자 |
역사적 이미지 | 정복왕 | 그림자왕 | 신화적 여왕 |
'웨이처치 설교및 강의 > 성경신학관련 노트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데반과 논쟁에서 졌던 자유민들은 왜 그렇게 까지 했을까? (행 6:9-14) (0) | 2025.05.07 |
---|---|
스데반에게 져서 열받았던 "자유민들"은 누구였나? (행 6:8-11) (0) | 2025.05.07 |
창세기 9장을 읽다가 떠오른 2가지 질문과 그 대답: (1) 350&900?; (2) "하체를 보고"? (0) | 2025.03.08 |
노아는 방주 안에서 얼마나 기다렸을까요? (0) | 2025.03.01 |
창세기 주석 PDF모음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