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웨이처치 설교및 강의/성경신학관련 노트정리

모세 시대의 이집트 정치 요약_왕가 이야기

👑 1. 이집트 제18왕조 왕실 계보도 (중심: 투트모세1세~하트셉수트)

           투트모세 1세 (Thutmose I)
                   │
     ┌────────────┴────────────┐
하트셉수트 (Hatshepsut)   투트모세 2세 (Thutmose II)
     │                         │
     └────────────┐         │
               결혼          │
                            ↓
                  투트모세 3세 (Thutmose III)
                            ↓
                  아멘호텝 2세 (Amenhotep II)

📝 요약 관계

  • 투트모세 1세: 하트셉수트와 투트모세 2세의 아버지 (다른 왕비 사이에서 자녀를 둠)
  • 하트셉수트 + 투트모세 2세: 이복남매 결혼, 왕위 계승 강화
  • 투트모세 3세: 투트모세 2세와 측실 사이의 아들 (하트셉수트의 양아들, 공동섭정이자 후계자)

 

 

🏛️ 2. 정치적 특징 비교표

인물 재위 기간 정치 스타일 주요 특징 유산

투트모세 1세 BC 1506~1493 군사적 정복 통치 - 누비아, 시리아 원정  
  • 제국 확장
  • 왕권 강화 | 제국의 기초 구축
    왕실 무덤 제도 정립 (왕가의 계곡) | | 투트모세 2세 | BC 1493~1479 | 약한 통치자 | - 하트셉수트에 의존
  • 단명, 병약 추정 | 하트셉수트의 집권 기반 제공 | | 하트셉수트 | 공동섭정 BC 1479~, 단독통치 BC 1473~1458 | 평화적·경제 중심 통치 | - 여성 파라오로 즉위
  • 신의 딸 이미지 활용
  • 무역(폰트 원정), 건축 사업(데이르 엘 바하리 신전) | 여성 지도력의 대표
    문화예술과 경제 번영의 상징 |

 

 

🔍 추가 설명

✅ 투트모세 1세

  • 전쟁의 왕: 강력한 군사 확장 정책으로 고대 이집트 영토를 최대로 넓힘
  • 왕권 집중: 귀족 세력 약화, 왕권 기반 강화

✅ 투트모세 2세

  • 병약한 중간자: 실권은 하트셉수트에게 넘어감
  • 하트셉수트가 정치 주도권을 쥐도록 허용한 존재

✅ 하트셉수트

  • 여성 파라오로서의 혁신: 남성의 상징(수염, 칼 등)을 사용하며 파라오로 등극
  • 신화적 정통성 강조: "아멘신이 직접 잉태시켰다"는 신화로 신적 권위 확보
  • 무력 대신 내치: 전쟁보다 무역, 예술, 건축 등 국가 안정과 번영에 집중

 

 

📌 정리: 이들의 관계성과 통치 방식 비교 요약

기준 투트모세 1세 투트모세 2세 하트셉수트

가계 관계 아버지 아들 딸 (그리고 며느리/공동 통치자)
권력 성향 군사적 강경파 약한 과도기 왕 내치 중심 실력자
역사적 이미지 정복왕 그림자왕 신화적 여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