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루틴/독서

변혁적 여행 경험(transformative travel experiences) 요약.

admin,+1631-6211-1-PB.pdf
1.41MB


 

1 서론
→ 여행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논의 소개
→ 변혁적 여행의 개념과 중요성 제기

2 문헌연구
→ 기존 연구에서 다룬 여행과 변화 관련 이론 정리
→ 변혁적 여행 경험의 정의, 조건, 기존 틀 소개

3 연구방법
→ 터키 여행자 30명 대상 심층 인터뷰
→ 현상학적 질적 접근 사용

4 연구결과
→ 변화 요인: 여행 방식, 개인 특성, 목적지 특성
→ 변화 유형: 행동 변화, 태도 변화, 성격 변화

5 논의 및 결론
→ 이론적·정책적 시사점
→ 여행의 교육적, 사회적 변화 가능성 강조

 


이 논문은 터키 여행자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여행이 개인에게 주는 장기적인 변화를 ‘변혁적 여행 경험(transformative travel experiences)’"이라는 개념으로 탐구한 것이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연구 목적

여행이 개인의 태도, 행동, 성격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탐구/ 특히 터키 여행자 30명을 인터뷰하여, 어떤 요인들이 이런 변화를 유도하는지를 분석.

 

2. 변화 요인 (변화를 유도하는 3대 요인)

(1) 여행 특성 (Tripographic factors):

여행 목적(여가, 문화, 비즈니스)/ 여행 방식(혼자, 패키지, 자율) / 여행 기간, 예산, 숙소 형태 등

(2) 개인 특성 (Personal factors):

나이, 성격(개방성, 외향성), 교육 수준, 여행 경험, 문화적 배경

(3) 목적지 특성 (Destination factors):

문화적 거리, 지역 전통,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자연환경, 언어 등

 

 

3. 변화의 유형 (3가지 변화 형태)

(1) 행동 변화 (Behavioral):

새로운 식습관, 절약 습관, 인사하기, 재활용, 금연, 독서 등

(2) 태도 변화 (Attitudinal):

편견 감소, 다양성 존중, 문화 차이에 대한 이해, 자유의 가치 인식, 환경 의식 향상

(3) 성격 변화 (Personality):

자기신뢰, 독립성 향상, 사회성 증가, 관대함, 융통성, 적응력, 모험심 강화


 

핵심 인사이트

(1) 혼자 여행하는 것이 더 큰 변화를 유발하며, 패키지 여행은 변화 유도에 제한적임.

(2) 문화적 거리감이 클수록 더 깊은 변화를 경험함.

(3) 자기 성찰, 새로운 사람과의 만남, 낯선 환경이 변화를 촉진함.

(4) 여행은 단순한 여가가 아니라 개인적, 사회적 변화의 촉진제가 될 수 있음.

 

 

연구 의미 및 제안

▶ 정부 및 관광 산업은 이런 변혁적 요소를 마케팅, 정책 개발에 반영할 수 있음.

 여행이 교육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학교나 직장에서도 활용 가능.

 향후 연구에서는 국가별 비교, 장기적 추적조사, 부정적 변화도 함께 탐색할 필요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