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과제 대화 10:30~10:50am. (142-162쪽)
(1) 1~5원리 정리하며 느낀 점 나눔
(2) 서점 방문/ 훑어봤던 책 나눔
2. 6원리 함께 읽기 10:50~11:15am. (142-162쪽)
[요약]
1. 사랑은 마음의 문제다
돈을 사랑하는 것은 소유 여부와 상관없다. 가난한 사람도 염려를 통해 맘몬을 숭배할 수 있다.
돈을 항상 생각하고 감정적으로 반응한다면, 이미 돈을 사랑하는 상태다.
돈 사랑은 마음에서 비롯된다.
2. 마음은 하나님이 맡기신 것
마음은 존재와 영혼의 집이며 생명과 믿음의 근원이다.
하나님은 당신의 마음까지도 당신에게 맡기셨다. 이에 대해서도 당신은 청지기다.
‘내 맘대로’는 성경적이지 않다. 하나님의 뜻을 위한 마음 관리가 필요하다.
3. 믿음은 마음에서 나온다
믿음은 곧 관점이다. 동일한 상황도 마음의 시각에 따라 믿음 혹은 불신으로 나뉜다.
믿음은 현실을 초월한 관점으로, 씨앗 속에서 과수원을 보는 시각 같은 것이다.
4. 믿음이 현실을 바꾼다
가난은 객관적 상태가 아니라 관점의 문제다. 현실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삶이 달라진다.
예: 빚 1억을 비관적으로 보느냐, 가능성으로 보느냐에 따라 대응이 달라진다.
5. 마음이 소명에 집중하면 돈 염려에서 벗어난다
믿음과 염려는 반비례한다. 하나님의 소명을 따라 사는 사람은 염려에서 자유롭다.
6. 가난에 대한 3가지 자기 합리화
(1) 실패에 대한 합리화: 여우와 신포도 이솝우화식의 자기 위안.
(2) 불신에 대한 합리화: 가난을 운명처럼 받아들이고 도전하지 않음.
(3) 정욕에 대한 합리화: 자발적 가난이 아닌, 게으름과 탐욕의 결과를 정당화함.
7. 관점이 바뀌어야 경작할 수 있다
믿음은 보이지 않는 씨앗을 실재로 경작해가는 힘이다.
부는 눈에 보이는 현상보다도 먼저 마음 안의 정체성에서 비롯된다.
8. 가난 경작자는 "돈소"를 한다
(1) 돈소는 남다른 소비다
돈소는 평범한 소비를 거부하고 수익 구조를 고려하는 소비다. 지출이 아니라 투자 개념으로 접근해 소비 전 수익 가능성을 먼저 고민한다.
(2) 돈소는 필요와 욕심을 구별한다
즉흥적 소비를 피하고 계획과 점검을 통해 목적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며, 돈을 하나님의 자원으로 여기고 청지기의 자세로 사용 목적을 분명히 한다. 소명 수행에 필요한 소비만 남기고 감정적이거나 욕심에 기반한 소비는 제거 한다.
(3) 돈소는 자기 성장을 포함한다
돈소는 감정 해소나 쾌락 중심의 소비가 아닌 자기 계발과 미래 수익을 위한 소비를 포함한다. 자신을 키우는 데 쓰는 소비는 낭비가 아니라 경작이며, 성장으로 이어지는 투자로 여겨진다.
(4) 돈소는 소명의 확신에서 나온다
소명을 아는 사람은 어떤 소비를 해야 할지도 알고, 군인이 임무 수행을 위해 보급을 받듯, 소비를 소명 완수를 위한 준비로 삼는다. 소명을 모르면 소비 기준이 없어진다. 결국 방황하거나 중독에 빠진다.
(5) 돈소는 하나의 목적을 향한 소비다
돈소는 하나의 분명한 목적을 향한 소비다. 소비의 방향성은 막연한 ‘많이 벌자’가 아니라 “무엇을 위해 얼마가 필요한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어야 하며, 달란트 비유처럼 주어진 자원을 증식시키고 쓰임 있게 만드는 것이 진짜 돈소다.
9. 월급보다 지혜를
돈을 직접 통제하려 하지 말고, 하나님의 뜻 안에서 돈을 ‘지혜롭게’ 선용하라.
불의한 재물도 지혜롭게 사용하면 거룩해질 수 있다. 지혜는 재정보다 우선한다.
3. 6원리 대화하기 11:15~11:55am.
(1) "돈을 사랑하는 것은 마음의 문제다"라는 말이 우리 삶의 어떤 모습에서 드러날 수 있을까요? ‘가진 것’이 아니라 ‘염려하는 방식’에서 드러나는 맘몬의 그림자는 무엇인지 나눠봅시다.
(2) 하나님이 우리에게 마음을 맡기셨다는 사실은 "선교적 사업가"로서의 의사결정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내 마음대로’와 ‘청지기로서의 마음 경영’은 실제 삶에서 어떻게 구별될까요?
(3) 내가 현재 경험하고 있는 문제(혹은 자원)를 믿음의 관점으로 보면 어떤 해석이 가능할까요? 실제로 ‘씨앗 속의 과수원’을 상상해 본 적이 있다면 나눠주세요.
(4) 현실을 바꾸는 믿음을 갖기 위해, 내가 먼저 바꿔야 할 ‘내 안의 해석’ 혹은 ‘틀 잡힌 관점’은 무엇이라고 느껴지시나요? 예전과 달리 바뀌었다고 느끼는 부분이 있다면요?
(5) 하나님의 소명에 집중할 때 염려로부터 자유로워집니다. 나는 지금 나의 사업(또는 일상) 안에서 어떤 방식으로 소명에 집중하고 있나요? 반대로 염려에 휘둘렸던 경험이 있다면요?
(6) ‘가난에 대한 자기 합리화’ 중 나에게 은근히 작용했던 해석은 무엇이었나요? 혹은 지금 사역, 사업, 삶의 현장에서 이런 자기 합리화를 목격하거나 깨뜨린 경험이 있다면 나눠주세요.
(7) ‘돈소는 하나의 목적을 향한 소비다’라는 정의는 선교적 삶과도 깊이 연결됩니다. 내 소비 중 하나님 나라를 향한 분명한 목적을 담은 소비는 어떤 것이었는지, 혹은 앞으로 그런 소비를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지 나눠봅시다.
4. 기도하기 11:55~12:10
(1) 나도 모르게 ‘돈을 사랑하는 마음’이 드러났던 경험이 있었나요?
📘 요즘, 내 마음을 자주 차지하는 재정적 염려나 집착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돌아보며, 그 염려의 중심에 맘몬이 아닌 주님이 계시도록 기도합시다.
"주님, 저희 마음에 스며든 염려와 두려움이 돈에 대한 사랑으로 바뀌지 않게 해주시고, 재정의 주인이신 주님만을 온전히 신뢰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2) 하나님이 맡기신 ‘마음의 청지기 역할’을 지금 어떻게 감당하고 있나요?
📘 내 마음의 방향이 정말 주님께로 향하고 있는지, 혹은 나 스스로 통제하려 했던 영역은 어디였는지 서로 점검해봅시다. ‘마음의 관리’가 곧 삶의 관리임을 기억합시다.
“주님, 제 마음을 주의 뜻에 따라 잘 돌보고 관리할 수 있는 지혜를 주세요. 제 감정과 생각까지도 주님께 맡기며 청지기로 살아가게 하소서.”
(3) 내가 가진 믿음의 관점이 지금의 현실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나요?
📘현실이 아무리 막막해도 그 안에서 과수원을 보았던 믿음의 순간이 있는지 돌아봅시다. 그리고 혹시 여전히 씨앗밖에 보이지 않는 상황에 있다면, 믿음을 달라고 기도합시다.
“하나님, 제게 믿음의 눈을 열어주시고, 지금 보이는 현실 너머 주님의 계획을 볼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씨앗 속에서도 주님이 펼쳐주실 과수원을 보게 하소서.”
(4) 나는 최근 어떤 소비가 ‘돈소’였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최근 내가 했던 소비 중에, 분명한 목적과 사명감이 있었던 지출이 있었는지 생각해봅시다. 혹시 불분명하거나 감정적인 소비였다면, 다음에 어떻게 바꿔볼 수 있을지 주님과 대화해봅시다.”
“주님, 소명 확인케 하소서. 확신을 주소서. 제 소비와 재정을 통해서도 하나님의 나라가 확장되게 하소서. 주신 자원을 지혜롭게 사용하여 그 소명을 따라 살아가게 하시고, 제 삶의 모든 지출이 주님이 주신 소명 순종의 과정이 되게 하소서.”
https://mall.godpeople.com/?G=9791165042202&r
[갓피플몰] 네게 재물 얻을 능력을 주었다
성경이 말하는 부의 원리돈에 속지 않고 돈을 다스리는 하나님의 방법!돈보다 재물 얻을 믿음을 먼저 구하라! 돈이 아니라 하나님이 내 인생의 주인이시다.
mall.godpeople.com
'웨이처치 설교및 강의 > CPC강의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언문 (0) | 2025.05.11 |
---|---|
5원리. 하나님은 재물 얻을 능력을 주셨다 (선교적 사업가 독서 모임) (0) | 2025.04.23 |
4원리. "돈은 지배와 이용의 대상이다" (선교적 사업가들을 위한, "스페이스W.독서모임" 5주차) (0) | 2025.04.16 |
3원리. "하나님을 사랑하지 않으면, 돈을 사랑하게 된다" (선교적 사업가들을 위한, "스페이스W.독서모임" 4주차) (0) | 2025.04.08 |
2원리. 모든 부를 맡기신 하나님 (선교적 사업가들을 위한, "스페이스W.독서모임"3주차) (1)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