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14장
1 당시에 시날 왕 아므라벨과 엘라살 왕 아리옥과 엘람 왕 그돌라오멜과 고임 왕 디달이
2 소돔 왕 베라와 고모라 왕 비르사와 아드마 왕 시납과 스보임 왕 세메벨과 벨라 곧 소알 왕과 싸우니라
3 이들이 다 싯딤 골짜기 곧 지금의 염해에 모였더라
4 이들이 십이 년 동안 그돌라오멜을 섬기다가 제십삼년에 배반한지라
5 제십사년에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왕들이 나와서 아스드롯 가르나임에서 르바 족속을, 함에서 수스 족속을, 사웨 기랴다임에서 엠 족속을 치고
6 호리 족속을 그 산 세일에서 쳐서 광야 근방 엘바란까지 이르렀으며
7 그들이 돌이켜 엔미스밧 곧 가데스에 이르러 아말렉 족속의 온 땅과 하사손다말에 사는 아모리 족속을 친지라
8 소돔 왕과 고모라 왕과 아드마 왕과 스보임 왕과 벨라 곧 소알 왕이 나와서 싯딤 골짜기에서 그들과 전쟁을 하기 위하여 진을 쳤더니
9 엘람 왕 그돌라오멜과 고임 왕 디달과 시날 왕 아므라벨과 엘라살 왕 아리옥 네 왕이 곧 그 다섯 왕과 맞서니라
10 싯딤 골짜기에는 역청 구덩이가 많은지라 소돔 왕과 고모라 왕이 달아날 때에 그들이 거기 빠지고 그 나머지는 산으로 도망하매
11 네 왕이 소돔과 고모라의 모든 재물과 양식을 빼앗아 가고
12 소돔에 거주하는 아브람의 조카 롯도 사로잡고 그 재물까지 노략하여 갔더라
13 도망한 자가 와서 히브리 사람 아브람에게 알리니 그 때에 아브람이 아모리 족속 마므레의 상수리 수풀 근처에 거주하였더라 마므레는 에스골의 형제요 또 아넬의 형제라 이들은 아브람과 동맹한 사람들이더라
14 아브람이 그의 조카가 사로잡혔음을 듣고 집에서 길리고 훈련된 자 삼백십팔 명을 거느리고 단까지 쫓아가서
15 그와 그의 가신들이 나뉘어 밤에 그들을 쳐부수고 다메섹 왼편 호바까지 쫓아가
16 모든 빼앗겼던 재물과 자기의 조카 롯과 그의 재물과 또 부녀와 친척을 다 찾아왔더라
17 아브람이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왕들을 쳐부수고 돌아올 때에 소돔 왕이 사웨 골짜기 곧 왕의 골짜기로 나와 그를 영접하였고
18 살렘 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
19 그가 아브람에게 축복하여 이르되 천지의 주재이시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이여 아브람에게 복을 주옵소서
20 너희 대적을 네 손에 붙이신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을 찬송할지로다 하매 아브람이 그 얻은 것에서 십분의 일을 멜기세덱에게 주었더라
21 소돔 왕이 아브람에게 이르되 사람은 내게 보내고 물품은 네가 가지라
22 아브람이 소돔 왕에게 이르되 천지의 주재이시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 여호와께 내가 손을 들어 맹세하노니
23 네 말이 내가 아브람으로 치부하게 하였다 할까 하여 네게 속한 것은 실 한 오라기나 들메끈 한 가닥도 내가 가지지 아니하리라
24 오직 젊은이들이 먹은 것과 나와 동행한 아넬과 에스골과 마므레의 분깃을 제할지니 그들이 그 분깃을 가질 것이니라
1. 양 진영의 대결 구조
1 당시에 시날 왕 아므라벨과 엘라살 왕 아리옥과 엘람 왕 그돌라오멜과 고임 왕 디달이
2 소돔 왕 베라와 고모라 왕 비르사와 아드마 왕 시납과 스보임 왕 세메벨과 벨라 곧 소알 왕과 싸우니라
동부 연합 | VS | 서부연합 |
시날 왕 아므라벨 엘라살 왕 아리옥 엘람 왕 그돌라오멜 고임 왕 디달 |
소돔 왕 베라 고모라 왕 비르사 아드마 왕 시납 스보임 왕 세메벨 벨라(소알)왕 |
2. 고대 근동(A.N.E)의 정치 구조: 봉신 체제 (Suzerainty-Vassal)
3 이들이 다 싯딤 골짜기 곧 지금의 염해에 모였더라
4 이들이 십이 년 동안 그돌라오멜을 섬기다가 제십삼년에 배반한지라
싯딤 골짜기 | 사해 남부 평야, 전쟁터이자 역청 구덩이로 가득한 위험 지역 |
염해 | 사해의 고대 이름. 이곳에 다섯 도시가 모여 반란을 일으킴 |
조공 체제 | 강대국(그돌라오멜)이 도시국가로부터 세금과 충성을 받음 |
반란의 의미 | 봉신국이 독립을 선언한 사건, 정치 질서의 도전 |
신학적 연결 | 아브람이 하나님의 정의와 구속 역사의 통로로 등장하는 서막 |
(1) 강대한 제국은 주변의 약소 도시국가들을 정복하거나 보호해주는 조건으로 조공(tribute), 군사 동원, 외교 독립제한(다른 국가와 동맹 불가)을 요구했다. 이에 응한 지역 왕들은 봉신국(vassal states)으로 기능했다.
(2) 엘람 왕 그돌라오멜: 동부 제국 연합의 수장. 가나안 남부 도시들(소돔, 고모라 등)은 그의 봉신국.
(3) “십이 년 동안 그돌라오멜을 섬기다가 십삼 년에 배반”(창 14:4) = 조공을 바치던 이들이 독립을 선언.
(4) 이 반란은 그돌라오멜의 징벌 원정으로 이어졌다. 이것이 창세기 14장의 전쟁.
(5) 여기에 아브람이 "가족 구조"의 목적으로 전쟁에 개입하게 된다.
(6) 이것은, 세속 제국 질서와의 충돌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중재자이자 정의의 수호자로 등장하는 첫 사례가 된다.
(7) 싯딤 골짜기와 같은 심판의 장소에서 하나님의 구속사가 시작된다는 상징성도 가지는 구절이다.
▶ 이는 이후 이스라엘이 겪게 될 애굽에서의 종살이, 출애굽, 가나안 정복과도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3. 싯딤 골짜기 전투
5 제십사년에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왕들이 나와서 아스드롯 가르나임에서 르바 족속을, 함에서 수스 족속을, 사웨 기랴다임에서 엠 족속을 치고
6 호리 족속을 그 산 세일에서 쳐서 광야 근방 엘바란까지 이르렀으며
7 그들이 돌이켜 엔미스밧 곧 가데스에 이르러 아말렉 족속의 온 땅과 하사손다말에 사는 아모리 족속을 친지라
8 소돔 왕과 고모라 왕과 아드마 왕과 스보임 왕과 벨라 곧 소알 왕이 나와서 싯딤 골짜기에서 그들과 전쟁을 하기 위하여 진을 쳤더니
9 엘람 왕 그돌라오멜과 고임 왕 디달과 시날 왕 아므라벨과 엘라살 왕 아리옥 네 왕이 곧 그 다섯 왕과 맞서니라
10 싯딤 골짜기에는 역청 구덩이가 많은지라 소돔 왕과 고모라 왕이 달아날 때에 그들이 거기 빠지고 그 나머지는 산으로 도망하매
11 네 왕이 소돔과 고모라의 모든 재물과 양식을 빼앗아 가고
12 소돔에 거주하는 아브람의 조카 롯도 사로잡고 그 재물까지 노략하여 갔더라
▶ 싯딤 골짜기 = 고대 가나안 남부의 평야 지역. 사해(염해) 주변에 위치한 넓은 계곡
▶ 역청 구덩이 (지하에서 올라온 석유 성분이 지표에 굳어진 것)
▶ 이 지역은 과거에는 비옥한 평야였으나, 이후 소돔과 고모라의 심판(불과 유황의 비) 사건 이후 침강과 염화가 심해졌다
4. 아브람의 추격: "마므레"에서 출발 ~ "단"과 "다메섹" 북쪽 "호바"까지 쫓아감
13 도망한 자가 와서 히브리 사람 아브람에게 알리니 그 때에 아브람이 아모리 족속 마므레의 상수리 수풀 근처에 거주하였더라 마므레는 에스골의 형제요 또 아넬의 형제라 이들은 아브람과 동맹한 사람들이더라
14 아브람이 그의 조카가 사로잡혔음을 듣고 집에서 길리고 훈련된 자 삼백십팔 명을 거느리고 단까지 쫓아가서
15 그와 그의 가신들이 나뉘어 밤에 그들을 쳐부수고 다메섹 왼편 호바까지 쫓아가
16 모든 빼앗겼던 재물과 자기의 조카 롯과 그의 재물과 또 부녀와 친척을 다 찾아왔더라
(1) 마므레 (헤브론 인근, 이스라엘 남쪽 유대 산지) → 단 (갈릴리 호수 북서쪽)
직선 거리 200~210km(도로 230~250km)
(2) 단 → 다메섹 북쪽 호바
직선 거리 100~120km,
호바는 다메섹 북서쪽 약 20km
단에서 호바까지는 약 120~140km
(3) 전체 왕복 거리:
[(헤브론 → 단 210km) + (단 → 호바130km)]x2 ≈ 680km
(+도로 사정/우회 경로=700km)
아브람의 나이(80대 이상 추정), 318명의 가신을 이끌고 밤에 강행군 = 그 자체로 놀라운 신앙적 결단과 군사적 모험
5. "사웨 골짜기 곧 왕의 골짜기"
17 아브람이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왕들을 쳐부수고 돌아올 때에 소돔 왕이 사웨 골짜기 곧 왕의 골짜기로 나와 그를 영접하였고
(1)"사웨 골짜기" 또는 "왕의 골짜기"는 어디인가?
압살롬이 살았을 때에 자기를 위하여 한 비석을 마련하여 세웠으니 이는 그가 자기 이름을 전할 아들이 내게 없다고 말하였음이더라 그러므로 자기 이름을 기념하여 그 비석에 이름을 붙였으며 그 비석이 왕의 골짜기에 있고 이제까지 그것을 압살롬의 기념비라 일컫더라 (삼하 18:18)
① 왕의 골짜기 = 예루살렘 인근, 기드론 골짜기(예루살렘 성전 동쪽, 감람산과 시온산 사이) 상류
② 후에 예루살렘 성전이 세워질 지역
(2) 지리적 요건이 주는 신학적 메세지
① 왕의 골짜기는, 아브람 원정대의 복귀 길목이었는데, 이곳은 세속과 거룩한 지역의 교차로 같은 곳.
② 소돔 왕은 아브람 덕분에 왕권을 회복한 입장.
③ 여호와의 제사장인 멜기세덱이 이곳에서 빵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와 아브람을 축복.
④ 승리자 덕에 세속(소돔왕)도 승리 + 영적 축복을 선언하는 자리
④ 왕권과 제사장직이 한 사람에게 결합된 모습(왕이자 제사장)을 보여 줌 - 메시아의 모형적 사건 (히 7장).
⑤ 아브람은 가나안 땅에서 정치적 승리자인 동시에, 하늘과 땅의 주재 여호와의 복을 받는 언약 백성의 시조임을 선언하는 자리 - 복음의 모형을 설명하는 장소
6. 살렘 왕 멜기세덱
18 살렘 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
19 그가 아브람에게 축복하여 이르되 천지의 주재이시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이여 아브람에게 복을 주옵소서
20 너희 대적을 네 손에 붙이신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을 찬송할지로다 하매 아브람이 그 얻은 것에서 십분의 일을 멜기세덱에게 주었더라
21 소돔 왕이 아브람에게 이르되 사람은 내게 보내고 물품은 네가 가지라
22 아브람이 소돔 왕에게 이르되 천지의 주재이시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 여호와께 내가 손을 들어 맹세하노니
23 네 말이 내가 아브람으로 치부하게 하였다 할까 하여 네게 속한 것은 실 한 오라기나 들메끈 한 가닥도 내가 가지지 아니하리라
24 오직 젊은이들이 먹은 것과 나와 동행한 아넬과 에스골과 마므레의 분깃을 제할지니 그들이 그 분깃을 가질 것이니라
신명기 12장 이전, 즉 이스라엘의 종교 중심지가 가나안 땅에 '공식적으로' 자리 잡기 이전, 이미 가나안 땅에도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는 자들이 있었다. 창세기 14장의 살렘 왕 멜기세덱 사건은 이 주제에 대한 중요한 단서다.
(1) 성경 본문이 말하는 멜기세덱과 살렘
① 살렘=예루살렘(시온)의 옛 이름 (시 76:2).
② 멜기세덱=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자 왕(창 14:18-20).
③ 이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은 "하늘과 땅의 주재"로 표현되며, 아브람도 이를 인정하고 같은 호칭을 사용해 응답(창 14:22).
④ 그는 아브람을 축복하며, "너의 대적을 네 손에 붙이신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을 찬송하라"고 말함.
(2) 멜기세덱의 하나님과 여호와
① 멜기세덱이 "여호와"라는 이름을 직접 사용하지는 않지만, 아브람이 곧 이어 "여호와"의 이름으로 동일한 하나님을 부름 (창 14:19, 22).
② 히브리서 7장은 멜기세덱이 "하나님의 아들과 방불하게 되어 항상 제사장으로 있다"고 말하며, 멜기세덱을 그리스도의 모형으로 설명.
(3) 가나안 땅에 이미 존재한 여호와 신앙?
① 노아의 세 아들들(셈, 함, 야벳)에게 주어진 지식이 후손들에게 남아 있었을 가능성.
② 멜기세덱은 이런 "보편 계시"의 잔재로서 참 하나님을 섬기던 마지막 남은 인물이었을 가능성.
③ 욥기도 이스라엘과 무관한 땅(우스 땅)의 여호와 경외자 욥을 등장시키는 것을 보면, 메소포타미아나 가나안에도 이런 인물이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7. 창세기 14장과 출애굽기의 구조적 평행성
창세기 14장 | 출애굽기 | |
억압자 | 엘람 왕 그돌라오멜 (외래 제국의 지배자) | 이집트의 바로 |
봉신 상태 | 가나안 5도시가 조공 바침 | 히브리인들이 노역으로 섬김 |
반란/출애 | 13년에 조공 거부하며 반란 | 모세의 인도로 탈출 시도 |
징벌 원정 | 동부 연합의 군사 보복 | 애굽의 군대가 이스라엘 추격 |
구출자 | 아브람 (하나님의 사람, 군사력과 믿음으로 구출) | 모세 (하나님의 사람, 이적과 말씀으로 구출) |
해방 지점 | 시딤 골짜기 (전쟁 후 롯 해방) | 홍해 (출애굽 후 홍해 도하) |
하나님의 응답 | 멜기세덱을 통해 축복 → 승리의 신적 해석 | 하나님이 직접 홍해를 가르심 → 해방의 신적 선언 |
8. 아브람의 구출 사건 → 이스라엘의 구속 역사 예표
아브라함 | 모세 |
개인적인 롯을 구하러 전쟁에 참여했지만, 결과적으로 하나님의 정의와 구원을 선포 | 개인적으로 형제 히브리인을 도우려다 (출 2장) 이스라엘 민족 전체의 구원자로 부름받음 |
전쟁 후 멜기세덱(평화의 왕, 제사장)과 교제 | 출애굽 후 시내산에서 하나님과 언약(율법과 제사 체계 수립) |
이 구조는 구약 전반의 반복 주제를 보여준다: 하나님은 구속자시며, 자신의 백성을 심판 받을 곳으로 부터 불러내신다.
9. 싯딤 골짜기 ↔ 가나안 정복 전쟁
아브람이 전쟁을 수행한 장소인 싯딤 골짜기(사해 남단)는 훗날 이스라엘이 정복하게 될 가나안 땅의 일부이다. 다시 말해, 아브람이 믿음으로 싸워 이긴 이 땅은 후일 그 후손들이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완전히 소유하게 될 땅이 된다. 이는 믿음으로 얻은 첫 영토이다.
10.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
(1) 아브람: 롯을 위해 싸우고 구원 → 그리스도의 중보자 역할의 예표
(2) 멜기세덱: 의와 평화의 왕, 하나님의 제사장 → 예수 그리스도의 반차 (히 7장)
(3) 그돌라오멜: 억압의 제국 → 죄와 사망의 세력
(4) 싯딤 골짜기 → 세속 세계 한가운데서 벌어지는 영적 전쟁의 무대
연결 고리 | 의미 |
아브람 vs 제국 | 하나님의 백성이 세속 질서와 충돌할 때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롯 구출 | 구원은 하나님의 사람을 통해 이루어진다 |
시딤 골짜기 | 영적 전쟁의 무대이며, 나중에 가나안 땅이 된다 |
멜기세덱 | 예수 그리스도의 그림자(typology) |
조공과 반란 | 죄와 구속 사이의 근본적인 구조를 암시함 |
'웨이처치 설교및 강의 > 웨이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뭍 별을 셀 수 있나 보라 (창 15:1-5) (0) | 2025.05.17 |
---|---|
아브람 원정군과 복음 (창세기 14장) (0) | 2025.05.10 |
"다시 처음 그 곳으로" (창 13:1-18) (0) | 2025.05.04 |
다시 돌아가고 있는가? (창 13:3-4) (0) | 2025.05.03 |
복을 받아 누리는 자 VS 복을 추구하는 자 (창 13:2) (0)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