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력(Physical Fitness)이란, 스포츠 과학에서 인간의 신체가 다양한 신체적 요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는 특정 신체 활동이나 일상생활에서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고, 과도한 피로 없이 회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 체력의 2가지 주요 요소
1. 건강 관련 체력 요소 (Health-Related Fitness)
- 심폐지구력(Cardiovascular Endurance): 심장과 폐가 산소를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지속적인 운동을 지원하는 능력.
- 근력(Muscular Strength): 근육이 저항을 극복하거나 물체를 들어 올리는 능력.
- 근지구력(Muscular Endurance): 근육이 피로 없이 반복적인 움직임을 수행하는 능력.
- 유연성(Flexibility): 관절이 최대 가동 범위까지 움직일 수 있는 능력.
- 체성분(Body Composition): 체지방, 근육, 뼈, 물 등 신체 구성 요소의 비율.
2. 운동 수행 관련 체력 요소 (Skill-Related Fitness)
- 민첩성(Agility): 방향을 빠르게 바꿀 수 있는 능력.
- 협응력(Coordination): 신체 부위 간의 움직임을 조화롭게 통제하는 능력.
- 균형(Balance): 안정성을 유지하는 능력.
- 스피드(Speed): 짧은 시간 안에 이동하거나 움직이는 능력.
- 순발력(Power): 근력과 스피드를 결합하여 빠르게 힘을 발휘하는 능력.
- 반응속도(Reaction Time): 자극에 빠르게 반응하는 능력.
▶ 스포츠 과학적 체력의 특징
- 적응성: 훈련을 통해 체력 요소를 강화할 수 있다.
- 특이성: 특정 운동 유형에 따라 요구되는 체력 요소가 다르다.
- 측정 가능성: 체력은 다양한 테스트(예: VO2 Max, 윗몸일으키기, 제자리 멀리뛰기 등)를 통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 체력의 의의
스포츠 과학에서 체력은 단순히 신체적 활동의 능력을 넘어서, 건강 증진, 질병 예방, 삶의 질 향상과 같은 신체적·정신적 웰빙의 필수 요소로 간주된다.
'루틴 > 크로스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산소운동 vs 유산소운동 (0) | 2025.01.23 |
---|---|
리서치: 개선 방법에 대한 정신 의학적 조언/ 이론 (0) | 2024.11.26 |
1년 훈련 계획 (러닝) (0) | 2024.10.28 |
주말 훈련 (0) | 2024.10.17 |
7일짜리 운동 루틴 조언 (0) | 2024.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