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4장 16절부터 26절까지 등장하는 인물들의 히브리어 이름과 그 의미.
1. 가인 (קַיִן)
- "창조하다", "소유하다", "얻다"의 뜻을 가진 동사 קָנָה (콰나)에서 유래.
- 하와가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득남하였다”(창 4:1)라고 말한 것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보임.
-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얻은 생명이라는 의미지만, 살인 후 "하나님을 떠나 방황하는 자"가 됨.
2. 에녹 (חֲנוֹךְ)
- חָנַךְ (ḥānak): "헌신하다", "훈련하다", "봉헌하다" ▶ 헌신된 자, 훈련된자, 가르침을 받은 자, 봉헌된 자
- 가인이 자신의 아들의 이름을 따서 성을 쌓고 이름을 지어줌 (창 4:17).
- 뒤에 등장하는 하나님과 동행한 에녹(창 5:24)은 다른 인물.
- 창세기 4장과 5장의 두 에녹 비교
구분 | 가인의 후손 에녹 (창 4:17) | 셋의 후손 에녹 (창 5:18-24) |
---|---|---|
아버지 | 가인 | 야렛 |
계보 | 가인의 후손 (불경건한 혈통) | 셋의 후손 (경건한 혈통) |
삶의 특징 | 세상적 문명의 중심 | 하나님과 동행 |
연결된 인물 | 라멕 (폭력과 교만의 상징) | 므두셀라, 노아 (신앙의 계보) |
최후 | 단순히 "그가 죽었다" | 죽음을 보지 않고 하나님께로 감 |
3. 이랏 (עִירָד)
- "도시 사람", "도시 출신" (from Ir (עִיר), meaning "city").
- 에녹의 아들, 가인의 후손.
- 이름 자체가 도시와 연관되어 있음: 하나님보다 문명을 의지하는 삶을 암시.
4. 므후야엘 (מְחוּיָאֵל)
- "하나님이 나를 치셨다", 또는 "하나님으로 인해 생명을 얻었다".
- "하나님이" (אֵל) + "치다" (מָחָה) or "생명을 주다" (חָיָה)
- 가인의 후손들이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이중적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는 시사점 가능.
5. 므두사엘 (מְתוּשָׁאֵל)
- "하나님은 그의 사람이다" 또는 "하나님이 나를 죽였다".
- Methu (מְתוּ)와 El (אֵל)의 조합.
- 하나님과의 이중적 관계 의미 가능.
6. 라멕 (לֶמֶךְ)
- "강한 자", "능력 있는 자"라는 뜻을 가질 가능성.
- 가인의 후손 중 가장 타락한 인물: 다처제 (창 4:19), 교만과 폭력을 나타내는 "라멕의 노래"(창 4:23-24)를 통해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 인물.
7. 야발 (יָבָל)
- "흐르게 하다", "생겨나다" (to flow, to bring forth).
- 가축을 기르는 자들의 조상이 됨(창 4:20).
- 그의 이름이 "흐르다"라는 뜻을 가진 것은 유목 생활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음.
8. 유발 (יוּבָל)
- "음악과 관련된 것", "흐르다" (to bring, to lead).
- 악기를 다루는 자들의 조상이 됨(창 4:21).
- Jubilee (희년)와 같은 어근을 가짐.
9. 두발가인 (תּוּבַל־קַיִן)
- "가인의 후손인 자", 또는 "금속을 연마하는 자" ("두발" = "연마하다, 철과 구리를 다루다"라는 뜻도 있음)
- 금속 연장을 만드는 자로 소개됨(창 4:22).
10. 나아마 (נַעֲמָה)
- "즐겁고 사랑스러운 자" (pleasant, lovely).
- 라멕의 딸 (창 4:22).
11. 셋 (שֵׁת)
- "지정된 자", "대체하는 자" (from Shîṯ, שִׁית, meaning "to put, to set").
- 아벨이 죽은 후 하나님이 하와에게 주신 아들로, 믿음의 계보를 이음 (창 4:25).
12. 에노스 (אֱנוֹשׁ)
- "사람", "연약한 자" (man, mortal, frail).
- 셋의 아들로, 그때부터 사람들이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기 시작함(창 4:26).
'웨이처치 설교및 강의 > 성경신학관련 노트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로몬의 "맹세"는 옳았을까? (왕상 2:23-24) (0) | 2025.02.05 |
---|---|
솔로몬은 왜 밧세바를 "오른편"에 앉혔을까? (왕상 2:19) (0) | 2025.02.05 |
"무조건적 은혜 아래 있는 조건적 은혜"에 대한 Matt Marino 목사의 설명을 들어보았다. (0) | 2025.01.22 |
조건부 은혜 + 무조건부 은혜 (0) | 2025.01.22 |
아도니아는 왜 제단 뿔을 붙잡았나요? (왕상 1:50) (0)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