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창세기 5장 본문 (개역개정)
1 이것은 아담의 계보를 적은 책이니라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실 때에 하나님의 모양대로 지으시되
2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셨고 그들이 창조되던 날에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고 그들의 이름을 사람이라 일컬으셨더라
3 아담은 백삼십 세에 자기의 모양 곧 자기의 형상과 같은 아들을 낳아 이름을 셋이라 하였고
4 아담은 셋을 낳은 후 팔백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5 그는 구백삼십 세를 살고 죽었더라
6 셋은 백오 세에 에노스를 낳았고
7 에노스를 낳은 후 팔백칠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8 그는 구백십이 세를 살고 죽었더라
9 에노스는 구십 세에 게난을 낳았고
10 게난을 낳은 후 팔백십오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11 그는 구백오 세를 살고 죽었더라
12 게난은 칠십 세에 마할랄렐을 낳았고
13 마할랄렐을 낳은 후 팔백사십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14 그는 구백십 세를 살고 죽었더라
15 마할랄렐은 육십오 세에 야렛을 낳았고
16 야렛을 낳은 후 팔백삼십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17 그는 팔백구십오 세를 살고 죽었더라
18 야렛은 백육십이 세에 에녹을 낳았고
19 에녹을 낳은 후 팔백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20 그는 구백육십이 세를 살고 죽었더라
21 에녹은 육십오 세에 므두셀라를 낳았고
22 므두셀라를 낳은 후 삼백 년을 하나님과 동행하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23 그는 삼백육십오 세를 살았더라
24 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하더니 하나님이 그를 데려가시므로 세상에 있지 아니하였더라
25 므두셀라는 백팔십칠 세에 라멕을 낳았고
26 라멕을 낳은 후 칠백팔십이 년을 지내며 자녀를 낳았으며
27 그는 구백육십구 세를 살고 죽었더라
28 라멕은 백팔십이 세에 아들을 낳고
29 이름을 노아라 하여 이르되 여호와께서 땅을 저주하시므로 수고롭게 일하는 우리를 이 아들이 안위하리라 하였더라
30 라멕은 노아를 낳은 후 오백구십오 년을 지내며 자녀들을 낳았으며
31 그는 칠백칠십칠 세를 살고 죽었더라
32 노아는 오백 세 된 후에 셈과 함과 야벳을 낳았더라
어린이 설교 내용
- 히브리어: 의미 & 숫자(게마트리아) 설명해주기
- 족보 기록 이유: "여자의 후손" ~ 예수님
- 나이가 이렇게 숫자로 정확하고 자세히 나오는 족보는 여기만 나옴.
- "므두셀라": "그가 죽으면 심판이 온다" - "784=28(7+7+7+7)x28(7+7+7+7)"
- 아담죽은 뒤 126년, 노아 시작.
- 족보 이름 뜻 연결 문장: 사람(아담)이 임명되었지만(셋), 연약한 존재(에노스)로 슬픔을 겪고(게난), 하나님의 찬양이 필요하며(마할랄엘), 하늘에서 내려오심이 있었고(야렛), 헌신된 자(에녹)가 나타났다. 그의 죽음이 심판을 가져왔지만(므두셀라), 강한 자(라멕)를 통해 안식(노아)이 올 것이다.
- 하나님의 완전하신 계획, 우리의 태어난 해, 죽은해, 나이, 성별...... 우연이 없다.
1. 창세기 5장에 나오는 인물들의 이름 의미들
- 아담 (אָדָם)
- 뜻: “사람”, “인류”
- 셋 (שֵׁת)
- 뜻: “임명된 자”, “대체하는 자”
- 에노스 (אֱנוֹשׁ)
- 뜻: “죽을 수밖에 없는 인간”, “연약한 자”
- 게난 (קֵינָן)
- 뜻: “슬픔”, “애통”
- 인간이 죄로 인해 겪게 되는 슬픔과 고통을 반영하는 이름.
- 마할랄엘 (מַהֲלַלְאֵל)
- 뜻: “하나님을 찬양하다”
- '마할랄'은 “찬양하다”를, '엘'은 “하나님”을 의미.
- 야렛 (יֶרֶד)
- 뜻: “내려오다”, “하강하다”
- 에녹 (חֲנוֹךְ)
- 뜻: “헌신된 자”, “교육된 자”
- 하나님과 동행하며 죽음을 보지 않고 승천한 인물(창 5:24).
- 므두셀라 (מְתוּשֶׁלַח)
- 뜻: “그의 죽음이 그것을 가져올 것이다”
- 그의 죽음(그의 손주인 노아가 600세때 죽음)과 함께 홍수가 시작되었음.
- 라멕 (לֶמֶךְ)
- 뜻: “강한 자” 또는 “절망”
- 가인의 후손 라멕과는 달리, 이 라멕은 신실한 사람으로 노아를 낳고 그를 통해 "안위"받게 될 것을 선포했음.
- 노아 (נֹחַ, Noach)
- 뜻: “안식”, “위로”
- 라멕이 노아의 이름을 지으면서, 그가 땅의 저주로부터 사람들을 안위할 것이라고 말한 것과 관련이 있음 (창 5:29).
▶ 이러한 이름들을 연결하자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음:
사람(아담)이 임명되었지만(셋), 연약한 존재(에노스)로 슬픔을 겪고(게난), 하나님의 찬양이 필요하며(마할랄엘), 하늘에서 내려오심이 있었고(야렛), 헌신된 자(에녹)가 나타났다. 그의 죽음이 심판을 가져왔지만(므두셀라), 강한 자(라멕)를 통해 안식(노아)이 올 것이다.
2. 창세기 5장의 족보 정리
인물 이름몇살때 누굴 낳았지?총 수명살아있는 동안 보았던 자손
아담 (Adam) | 130세 (셋) | 930세 | 에노스, 게난, 마할랄엘, 야렛, 에녹, 므두셀라, 라멕 (56세까지) |
셋 (Seth) | 105세 (에노스) | 912세 | 게난, 마할랄엘, 야렛, 에녹, 므두셀라, 라멕 (168세까지) |
에노스 (Enosh) | 90세 (게난) | 905세 | 마할랄엘, 야렛, 에녹, 므두셀라, 라멕, 노아 (84세까지) |
게난 (Kenan) | 70세 (마할랄엘) | 910세 | 야렛, 에녹, 므두셀라, 라멕, 노아 (179세까지) |
마할랄엘 (Mahalalel) | 65세 (야렛) | 895세 | 에녹, 므두셀라, 라멕, 노아 (234세까지) |
야렛 (Jared) | 162세 (에녹) | 962세 | 므두셀라, 라멕, 노아 (366세까지) |
에녹 (Enoch) | 65세 (므두셀라) | 365세 (승천) | 므두셀라, 라멕 (113세까지) |
므두셀라 (Methuselah) | 187세 (라멕) | 969세 | 노아 (600세까지, 홍수 직전까지 생존) |
라멕 (Lamech) | 182세 (노아) | 777세 | 홍수 전 5년 전에 사망 |
노아 (Noah) | 500세 (셈, 함, 야벳) | 950세 | - |
3. 이때, 표면적으로 눈에 띄는 특징들.
- 아담이 죽고 126년 후 노아가 태어남.
- 최초의 인간 아담은 노아의 시대까지 약간 겹쳐 있음.
- 즉, 노아의 아버지 라멕이 56(42+7+7)세일 때 아담이 사망했음(계 11: ,13:).
- 므두셀라는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 산 인물 (969세)
- 이름 뜻 = "그가 죽으면 심판이 올 것이다"
- 노아가 600세가 되는 해(홍수가 일어난 해)까지 살아있었음
- 므두셀라는 969세까지 생존, 그의 증손자 노아가 방주를 짓는 것을 볼 수 있었을 가능성이 있음.
- 그러나 홍수 심판 전에 죽었기에, 방주에는 타지 않았음.
- 에녹은 죽음을 경험하지 않고 하나님께로 들려 올라감 (365세)
- 아담과 에녹은 308년동안 동시대를 살았음.
- 아담 수명 930세(창 5:5)
- 아담이 622세때 에녹이 태어남
- 에녹이 365세에 하나님께서 데려가셨을 때,
- 그의 아들 므두셀라는 300세
- 손자 라멕은 113세
- 증손자 노아는 아직 태어나지 않은 상태
- 아담과 에녹은 308년동안 동시대를 살았음.
- 노아의 아버지 라멕은 홍수 5년 전에 사망
- 노아가 595세일 때 라멕이 죽음.
- 그러므로 노아는 홍수가 오기 전 아버지를 잃었지만, 할아버지 므두셀라는 여전히 살아있었음.
4. 창세기 5장 이름들의, 게마트리아 값 & 의미
אדם | 아담 | 45 | "사람, 흙(아다마, אדמה)에서 유래" - 인간의 기원을 상징 |
שת | 셋 | 700 | "임명된 자, 대체된 자" - 아벨을 대신한 후손, 하나님의 계획 |
אנוש | 에노스 | 357 | "연약한 인간, 죽을 존재" - 인류의 타락과 한계를 강조 |
קינן | 게난 | 860 | "슬픔, 애통" - 인류의 죄로 인한 슬픔과 고통 상징 |
מהללאל | 마할랄엘 | 136 | "하나님을 찬양하다" - 경건한 믿음을 의미 |
ירד | 야렛 | 214 | "내려오다" - 타락이 점점 심화됨을 암시 |
חנוך | 에녹 | 84 | "헌신된 자, 교육된 자" - 하나님과 동행한 자 |
מתושלח | 므두셀라 | 784 | "그가 죽으면 심판이 올 것이다" - 홍수와 관련된 예언적 인물 |
למך | 라멕 | 78 | "강한 자, 절망" - 두 개의 대조적인 의미를 가짐 (가인의 후손 라멕 vs. 셋의 후손 라멕) |
נח | 노아 | 58 | "안식, 위로" -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을 상징 |
5. 게마트리아 숫자 해석 및 패턴 분석
1) 45 (아담) → 700 (셋)
- 45 (아담, אדם): 4(ד) + 40(מ) + 1(א) = 45 → "흙에서 온 인간"을 의미
- 700 (셋, שת): 완전함(7)과 신성한 개입을 상징
- 아벨을 대신한 후손이라는 점에서 하나님의 주권적인 선택을 의미
▶ 아담(45) → 셋(700)의 변화는 인간이 타락했으나, 하나님의 주권적 개입으로 회복이 시작됨을 암시
2) 357 (에노스) → 860 (게난)
- 357 (에노스, אנוש): "연약한 인간"을 의미
- 3(완전한 수) + 50(하나님의 구속) + 7(완전한 수: 하나님의 창조 + 인간의 대리통치, 안식) → 연약한 인간이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을 받을 존재임을 암시
- 860 (게난, קינן): "슬픔, 애통"을 의미
8 + 6 + 0 = 14 = 7 X 2
▶ 에노스(357)와 게난(860)의 관계는, 인간의 타락이 점점 깊어지고 하나님의 심판이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음.
3) 136 (마할랄엘) → 214 (야렛)
- 136 (마할랄엘, מהללאל): "하나님을 찬양하다"
- 1(하나님) + 30(3+10: 세상의 완전한 지도자) + 6(죄인, 세속) + 100(10X10 세상, 세속) = 136
- 214 (야렛, ירד): "내려오다" → 타락과 하강의 상징
▶ 마할랄엘(136)에서 야렛(214)으로 내려오는 것은, 인간이 하나님을 찬양하던 상태에서 타락이 점점 깊어지는 과정으로 볼 수 있음.
4) 84 (에녹) → 784 (므두셀라)
- 84 (에녹, חנוך): "헌신된 자"
- 8(새로운 시작) + 4(땅, 창조) = 84
- 에녹은 하나님과 동행하며 승천한 인물로, 새로운 시작을 상징
- 784 (므두셀라, מתושלח): "그가 죽으면 심판이 온다"
- 784는 28 × 28 (완전한 심판)
- 므두셀라의 죽음과 함께 홍수가 발생
▶ 에녹(84)이 하나님과 동행하며 승천한 것과 므두셀라(784)의 홍수 심판은 연결될 가능성이 있음.
5) 78 (라멕) → 58 (노아)
- 78 (라멕, למך): "강한 자, 절망"
- 7(완전한 수) + 8(새로운 시작) = 완전한 변화 또는 극단적인 상태
- 가인의 후손 라멕(폭력) vs. 셋의 후손 라멕(믿음)의 차이를 의미할 가능성
- 58 (노아, נח): "안식, 위로"
- 5(은혜) + 8(새로운 시작) =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
▶ 라멕(78)의 시대가 타락과 절망으로 끝났고, 노아(58)의 시대가 하나님의 구원으로 이어짐을 상징할 가능성이 있음.
6) 정리
- 게마트리아 값의 패턴에서 "타락 → 심판 → 구원"의 흐름이 나타남.
- 아담(45) → 셋(700) → 에노스(357) → 게난(860) → 마할랄엘(136) → 야렛(214) → 에녹(84) → 므두셀라(784) → 라멕(78) → 노아(58)
- 타락한 인간이 하나님의 구속(셋)을 통해 점점 구원의 계획으로 나아가는 과정
- 므두셀라(784)와 노아(58)의 관계는 홍수 심판과 구원의 예표가 될 가능성이 있음.
- 므두셀라는 홍수 직전에 죽었고, 노아는 방주를 통해 구원을 받음.
- 노아(58)는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며, 홍수 이후의 하나님의 구속 역사와 연결됨.
- 58은 하나님의 은혜(5)와 새로운 시작(8)의 조합
- 노아는 창세기 6~9장에서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성취하는 인물로 등장
※참고: 아담이 죽고, "126"년 뒤에 노아가 태어남 ▶ 성경에서 숫자 "126"을 수비학적으로 생각해본다면?
- 126 = 42 × 3
- 42는 심판과 시험의 숫자 (계 13:5, 11:2. "42개월 동안 적그리스도가 활동함")
- 3은 완전함을 뜻하는 숫자
- 126은 42의 3배로, "완전한 심판"을 의미할 가능성이 있음.
- 126 = 70 + 56으로 해석 가능
- 70은 "이스라엘," "완전한 세대," "하나님의 계획"등을 의미함.
- 56은 아담이 죽을때, 라멕(노아의 부친)의 나이.
- 따라서, 126 = 70 + 56 으로 생각할 경우,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음.
- 히브리어에서 게마트리아 값이 126인 단어를 찾으면 이 숫자가 더 깊은 의미를 가질 수 있음.
- קכו (Qof-Kaf-Vav)의 가능성
- Qof(ק): 거룩함, 시험, 심판을 상징. 때로는 하나님의 심판을 의미하기도 함.
- Kaf(כ): 손, 권위, 축복을 의미하며, 무언가를 받거나 주는 행위를 나타냄.
- Vav(ו): 연결, 못(Nail), 계승을 의미.
해석 가능성
- "심판(Qof)이 내려와(Kaf), 사람들과 연결된다(Vav)."
- 아담이 죽고 126년 후 노아가 태어났다는 점과 관련지으면, 아담의 시대(죄의 시작)와 노아의 시대(홍수 심판)가 연결되는 의미를 가질 가능성이 있음.
- 126이 "시험과 심판(Qof), 하나님의 손(Kaf), 연결(Vav)"이라는 의미를 가질 수 있음
- 이 조합은 노아 시대의 심판과 새로운 시작을 암시할 가능성이 있음.
- עַלְמוֹת (Almot, עלמות) = 126
- "젊은 여성들", "은밀한 것"이라는 의미를 가짐.
6. 아담과 에녹이 함께 살았던 308년.
1. 에녹은 아담을 보았을까?
- 아담 수명 930세(창 5:5)
- 아담이 622세때 에녹이 태어남
- 930-622=308
- 아담과 에녹은 308년동안 동시대를 살았음. (에녹이 365세에 하나님께서 데려가셨을 때, 그의 아들 므두셀라는 300세, 손자 라멕은 113세, 증손자 노아는 아직 태어나지 않은 상태)
▶ 아담과 에녹이 함께 살았던 그 308년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2. 숫자 "308"이 성경적으로 의미를 가질 "가능성"에 대한 수비학적으로 분석
(1) 308의 소인수분해
- 308 = 2² × 7 × 11
- 해석 가능성:
- 2 → 증언, 분리, 대조
- 7 → 완전함, 하나님의 계획, 영적 완성, 하나님의 창조 + 인간의 대리통치 사역
- 11 → 심판과 혼란 (행 1:15-26에 나오는 "11사도+1," 계 13:1에 나오는 "11번째 뿔")
"타락한 인간(아담) VS 하나님과 동행한 인간(에녹)"의 대조를 증언하는 기간이었을 수도 있음.
(2) 308의 자릿수 합
- 3 + 0 + 8 = 11
- 11은 성경에서 혼란과 심판을 상징하는 숫자
(3) 308의 약수: 1, 2, 4, 7, 11, 14, 22, 28, 44, 77, 154, 308
여기서 의미 있는 숫자들:
- 7 → 완전함, 하나님의 창조 + 인간의 대리통치사역
- 11 → 심판과 혼란
- 14 (7 × 2) → 완전함의 두 배 (강조)
- 77 (7 × 11) → 완전한 혼란, 환전한 심판
- 154 (77 × 2) → 완전한 심판의 증언
▶ 결론: 308년은 성경적으로 "하나님의 심판과 완전한 계획이 증언된 기간"일 "가능성"이 있다.
수리학(Numerology)이란?
숫자가 우주와 인간의 삶에서 특정한 의미와 상징을 가진다고 해석하는 학문.
고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활용되었으며, 철학적, 신비적, 종교적 요소가 결합된 분야였음.
1. 기원과 역사
(1) 피타고라스와 서양 수리학
- 피타고라스(Pythagoras, 기원전 570~495년경)는 숫자가 우주의 근본적인 원리라고 주장.
- 그는 "모든 것은 숫자로 설명될 수 있다"는 개념을 발전시켰음 (피타고라스 수리학)
- 그는 숫자마다 특정한 성격과 에너지가 있다고 믿었음.
(2) 히브리어 게마트리아(Gematria)
- 히브리어 문자에는 각각 숫자 값이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성경적 메시지를 해석하는 기법.
- 예: "아담(אדם)"의 게마트리아 값 = א (Aleph) = 1 ; ד (Dalet) = 4 ; ם (Mem) = 45 (9X5; 1+4+10+10+10)
- 예: "아담"의 게마트리아 값에 대한 해석과 "아담"을 이루고 있는 단어 어근들의 관계 (아다마=흙, 담=피, 레 17:11 "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음이라")의 연관성
- 유대 신비주의(카발라, Kabbalah)에서 게마트리아는 성경 해석/ 의미를 찾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됨.
(3) 동양 수리학
- 중국의 음양오행과 숫자 철학
- 예: "8"은 번영과 행운을 의미하지만, "4"는 죽음을 의미한다고 해석됨.
- 한자와 숫자의 연관성: 특정 숫자가 발음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됨 (예: "4" &
(4) 성경 수리학
- 성경에서는 특정 숫자가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특별한 신학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음.
- 예: 7은 완전함, 12는 하나님의 질서, 40은 시험의 기간 등.
- 이는 단순한 미신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성경 속에서 숫자를 통해 상징적인 메시지를 주셨다고 해석하는 것.
2. 수리학의 주요 개념
(1) 게마트리아 (Gematria)
- 히브리어나 그리스어 단어의 문자 값(숫자)을 합산하여 의미를 찾는 방법.
- 성경 해석에서 사용됨.
- 예: 예수(Ιησους, Iēsous)의 게마트리아 값은 "888" → 새로운 창조와 완전한 구원을 의미.
(2) 수비학 (Numerology Reduction)
- 숫자의 각 자릿수를 조합하여 한 자리 숫자로 축소하여 의미를 찾는 방법.
- 예: 308 → 3+0+8 = 11 → 불완전함과 혼란의 숫자.
(3) 성경적 숫자 상징
- 성경에서 특정 숫자가 반복될 때, 그 의미를 연구함.
- 예:
- 7 → 완전함, 하나님의 창조 (창세기 7일 창조)
- 12 → 하나님의 질서 (12지파, 12제자)
- 40 → 시험과 연단 (이스라엘의 40년 광야 생활, 예수님의 40일 금식)
- 666 → 적그리스도의 숫자 (요한계시록 13:18)
3. 수리학과 성경 해석
성경에서는 숫자가 종종 상징적 의미를 가짐.
그러나 단순한 미신적 접근이 아니라, 신학적, 역사적 맥락에서 해석해야 함.
(1) 성경적 수리학의 적용 예시
- 마태복음 1장: 예수님의 족보에서 14대씩 구분
- 14는 다윗의 이름의 게마트리아 값 (דוד = 4+6+4 = 14)
- 즉, 예수님이 다윗의 자손임을 강조하는 상징적인 숫자 사용.
- 요한계시록 13:18 - 짐승의 수 666
- 불완전한 인간(6)의 세 배 반복 → 완전한 타락의 상징.
4. 신학적으로 올바른 수리학 활용법
✅ 성경적 문맥 안에서 숫자의 의미를 찾기
✅ 미신이 아니라, 신학적 해석 도구로 사용하기
✅ 게마트리아와 성경적 상징을 조화롭게 해석하기
❌ 미래를 점치는 도구로 사용하지 않기
❌ 단순한 숫자 조작이 아닌, 성경 전체의 맥락을 고려하기
📌 결론
수리학(Numerology)은 단순한 미신이 아니라, 성경적 패턴을 연구하는 신학적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신비주의적 해석이나 점성술과 결합하는 것은 주의해야 하며, 성경의 문맥 속에서 숫자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웨이처치 설교및 강의 > 웨이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세기 7장_방주로 들어가겠는가? (0) | 2025.02.23 |
---|---|
창세기 7장에 관한 13가지 질문 (0) | 2025.02.22 |
라멕(창 4:23-24) VS 라멕 (창 5:25-31) (0) | 2025.02.09 |
창세기 4장과 5장의 동명이인 "에녹"에 대한 설교노트 (0) | 2025.02.02 |
살인의 기술 (요 8:44) (0)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