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및 강의/헤브론 성경통독

홀로코스트가 유대인 국가 설립에 미친 4가지 영향

홀로코스트는 유대인 국가 수립의 필요성을 국제 사회에 부각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 이유를 다음 4가지 측면에서 정리해 보자.

 

1. 유대인의 생존과 안전 보장 논리

홀로코스트 동안 약 600만 명의 유대인이 나치 독일과 그 협력국들에 의해 조직적으로 학살되었다.

유대인들은 유럽 전역에서 "국가 없는 민족"으로 살아가면서, 정치적 보호를 받지 못한 상태였기에 이러한 대량 학살을 막을 힘이 없었다.

따라서 "유대인들이 자신들만의 국가와 군대를 가져야만 미래에 이런 비극을 방지할 수 있다"는 논리가 힘을 얻었다.

이는 시오니스트들이 주장하던 "유대 민족이 독립된 영토를 가져야 한다"는 이념과 연결되었고, 국제 사회에서도 공감을 얻었다.

 

2. 유럽 내 유대 난민 문제와 영국의 입장 변화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홀로코스트 생존자 수십만 명이 집을 잃고 유럽 각지에서 난민이 되었다.

많은 유대인 난민들이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하려 했지만, 당시 영국이 통치하던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British Mandate of Palestine)에서 유대인의 대규모 이주는 제한되었다.

유대인 난민들이 팔레스타인으로 밀입국하려 하면서 영국과의 충돌이 심화되었고, 결국 영국은 팔레스타인 문제를 유엔에 넘기게 되었다.

 

3. 국제 사회의 죄책감과 도덕적 책임

홀로코스트 이후, 서구 국가들은 유대인들의 고통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느끼게 되었다.

미국, 영국, 프랑스를 비롯한 서구 국가들은 유대인을 보호하지 못한 역사적 책임을 인정하면서, 유대인 국가 건설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졌다.

특히, 미국 내 유대인 로비 그룹이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며 유대인 국가 수립에 대한 정치적 압박을 가했다.

 

4. 냉전과 국제 정치적 계산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은 서로 경쟁하는 냉전 체제로 돌입했으며, 중동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이해관계가 있었다.

소련은 처음에는 시오니스트들을 지지했는데, 이는 영국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유대인 국가를 지원하는 전략적 결정이었다. (참고 - https://pastorjaysong.tistory.com/1457)

 

냉전 초기 소련의 친-유대 정책에 대해

소련은 초기에 이스라엘의 건국을 강력히 지지했지만, 곧바로 정책을 변경하여 이스라엘과 대립하는 입장으로 돌아섰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당시 국제 정세와 소련의 정책 변화를 단계별로 살

pastorjaysong.tistory.com

미국 역시 중동에서 새로운 친서방 국가를 원했고, 유대인 국가 수립을 공식적으로 지지했다.

 

정리: 홀로코스트가 유대인 국가 설립에 미친 4가지 영향 

1. 유대인의 생존과 안전을 위해 독립된 국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가짐.
2.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이 대규모 난민이 되면서 유대인 이주의 필요성이 대두됨.
3. 국제 사회가 유대인 학살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느끼고 국가 수립을 지지하는 분위기 형성.
4. 냉전 체제 속에서 미국과 소련이 유대인 국가 설립을 전략적으로 활용.

결과적으로 1947년 유엔 결의안 181호(팔레스타인 분할 계획)가 통과되고,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이 독립을 선언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