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근대&현대의 예수교회 The Jesus Church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복음으로 삶의 변화와 선교를 일으킨 예수교회 The Jesus Church that Sparked Life Change and Mission through the Gospel
신앙의 침체와 이성의 추구 Spiritual Decline and the Pursuit of Reason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의 의미 없는 30년 전쟁이 끝날 무렵, 17세기 유럽은 계몽주의의 영향권 안에 들어와 있었다. 계몽주의에 근거한 과학 혁명과 철학 혁명은 정통 신앙을 점점 무너뜨렸고, 하나님이 이 세상을 창조하기는 했지만 세상의 운영은 그가 만들어 놓은 이성의 법칙에 따라 돌아갈 뿐이라고 여겼다. 더욱 심각한 것은, 여러 가지 정치적 상황들로 인해 종교개혁자들의 신앙이 점점 희미해졌다. 종교개혁이 일어난 지 100여 년이 안되서 기독교는 다시 새로운 위기를 맞게 된다. 결국 사람들은 로마 가톨릭 교회로 회귀하는 교회의 모습에 많은 회의를 느끼게 되었다.
At the end of the 30 Years' War between Roman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17th-century Europe found itself under the influence of Enlightenment thought. The scientific revolution and philosophical advancements rooted in Enlightenment ideas gradually dismantled orthodox faith, suggesting that while God had created the world, its operation ran according to rational laws He had established. Even more concerning was the fact that, due to various political circumstances, the faith of the Reformers began to grow faint. Less than a century after the Reformation, Christianity faced a new crisis. People grew increasingly disillusioned with the Church's return to Roman Catholicism.
바로 이러한 시점에서 나타난 것이 ‘경건주의’였고, 그들은 ‘교리를 삶으로!’라고 외쳤다. 경건주의는 독일의 필립 야콥 슈페너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후 니콜라우스 진젠도르프가 발전시켰고, 헤르만 프랑케에 이르러 완성되었다. 영국의 존 웨슬리와 동생 찰스 웨슬리는 경건주의를 배경으로 활동했던 사람들이다. 그들은 말씀을 듣기만 하지 말고, 실천하자고 주장하며 삶과 도덕의 변화를 꾀했다.
It was at this crucial moment that Pietism emerged, and they proclaimed, “Doctrine as life!” Pietism began with Philipp Jakob Spener in Germany, was further developed by Nicolaus Zinzendorf, and was completed by Hermann Francke. In England, John Wesley and his brother Charles Wesley were figures who were active within the Pietist movement. They argued that one should not just listen to the Word, but practice it—calling for life and moral change.
부흥 운동과 변화의 바람 Revival Movements and Winds of Change
영국 청교도들은 성경에 입각한 삶을 살고 싶어 했고, 말씀과 지성에 따른 실천과 행동이 있는 삶을 추구했다. 이런 청교도의 신앙은 신대륙인 미국으로 건너가 영적대각성 운동을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게 되었다. 특히 미국 제1차 대각성 운동의 선구자였던 조나단 에드워즈는 차가운 이성주의자들과 광신적 열광주의자들을 모두 경계하면서 균형 잡힌 부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에드워즈에 의해 시작된 부흥은 수년 후 조지 휫필드에 의해 더욱 타올라 미국 전역을 휩쓸게 되었다.
The Puritans in England desired to live according to the Bible, seeking a life of practical application rooted in the Word and intellect. Their faith in the Scriptures crossed the Atlantic to the New World, playing a pivotal role in sparking the **Great Awakening** in America. Particularly, Jonathan Edwards, a key figure in the First Great Awakening, warned against both cold rationalism and fanatical enthusiasm,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 balanced revival. The revival, initiated by Edwards, was further fueled by George Whitefield, eventually sweeping across the entire nation.
위기 가운데 나타났던 경건주의와 청교도주의 부흥 운동은 엄청난 선교 열정으로 표출되었다. 경건주의 운동의 요람이었던 할레대학과 모라비안(헤른후트) 공동체는 수많은 선교사를 파송해 선교에 힘썼다. 청교도주의 부흥 운동은 18세기 영미권의 부흥과 선교를 촉진시켜 해외선교의 열정으로 나타났다. 이것이 근대선교의 아버지라 불리는 인도 선교의 선구자 윌리엄 캐리를 비롯해 중국 선교에 헌신했던 허드슨 테일러, 아프리카의 영혼을 위해 헌신하다 순교한 데이비드 리빙스턴 등 그 이후 수많은 선교사들이 예수님의 지상대명령을 따라 일어나게 하였다. 그리하여 20세기와 현재까지 전세계로 복음이 전파되는 선교가 계속 이어지게 되었다.
The Pietist and Puritan revival movements that emerged in times of crisis were expressed through an immense missionary zeal. Halle University, the cradle of the Pietist movement, and the Moravian (Herrnhut) community sent out numerous missionaries and devoted themselves to the work of missions. The Puritan revival movement spurred revival and missions in the Anglo-American world during the 18th century, giving rise to a passionate commitment to overseas missions. This spirit led to the work of modern-day missionary pioneers, such as William Carey, known as the father of modern missions in India; Hudson Taylor, who dedicated himself to missionary work in China; and David Livingstone, who became a martyr for the souls of Africa. Following their footsteps, countless missionaries arose, following the Great Commission of Jesus. This legacy of worldwide mission continued into the 20th century and persists today, as the gospel continues to be preached across the globe.
겸손과 섬김의 사회개혁 Humility and Service in Social Reform
현대 기독교의 특징은 복음과 더불어 사회개혁, 그리고 삶의 개혁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윌리엄 윌버포스는 일평생 영국 노예제도 폐지 운동을 펼쳤고, 결국 1833년 노예제도 폐지 법안이 통과될 수 있었다. ‘고아의 아버지’로 불렸던 조지 뮬러는 고아원 사역을 하면서 수많은 기도 응답을 받았다. 그는 자신의 사역에 대해 이렇게 확신했다. “고아원 사역의 근본적인 목적은 나의 보호 아래 있는 고아들이 필요한 모든 것들을 기도와 믿음을 통해 공급받고,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하나님은 신실한 분이시며 기도를 응답해 주시는 분이심을 보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는 것이다!”
A key characteristic of modern Christianity is the significant impact it has had on both the gospel and social reform, as well as personal transformation. William Wilberforce dedicated his life to the abolition of slavery in Britain, and in 1833, the Abolition of Slavery Act was passed. George Müller, known as the "Father of the Orphans," received countless answers to prayers while running orphanages. He was confident in his ministry, stating,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orphanage ministry is that the orphans under my care receive everything they need through prayer and faith, and that everyone sees that God is faithful and answers prayers, thereby giving glory to God!”
2. 복음과 기도로 선교에 순종한 예수교회, 모라비안들
The Jesus Church of the Moravians: Obedient to Missions through the Gospel and Prayer
모라비안들은 유럽에서 15세기경 시작된 영성운동의 후예들로 방랑자들이었으나 1722년 독일의 진젠도르프 백작과의 만남을 통해 그의 영지에 정착하면서부터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게 되었다. 진젠도르프는 이미 독일 경건주의 배경에서 자라나 할레대학에 들어가 ‘겨자씨회’를 만들어 세계 복음화의 비전을 보게 되었고, 모라비안들과의 만남을 통해 복음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게 되었다. 1727년 함께 기도와 금식을 하는 가운데 성령의 큰 임재를 경험한 후, 1728년 서인도, 그린랜드, 터키 등에 선교사를 파송할 것을 결의하였다. 1732년 옹기장이 레오나드 도버와 목수 데이빗 리치만을 서인도 제도에 파송하면서 개신교 최초의 선교사들이 나갔다.
The Moravians were descendants of a spiritual movement that began in Europe in the 15th century. They were wanderers until 1722, when, through their encounter with Count Zinzendorf of Germany, they settled on his estate and formed a community. Zinzendorf, who had grown up in the German Pietist tradition and attended the University of Halle, founded the “Mustard Seed Society,” inspired by a vision for global evangelization. It was through his meeting with the Moravians that he came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the gospel. In 1727, after experiencing the great presence of the Holy Spirit during a time of prayer and fasting, they decided in 1728 to send missionaries to places like the West Indies, Greenland, and Turkey. In 1732, two missionaries, potter Leonard Dover and carpenter David Richman, were sent to the West Indies, marking the beginning of Protestant missions.
당시 개신교 주축 세력은 종교개혁 이후 교리를 세우고 교회의 토대를 만들어가는 일에 바빴기에 선교에는 거의 관심이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작은 기독교 공동체였던 모라비안들이 세계선교의 비전을 본 것이다. 그들은 큰 어려움과 위험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도 선교의 부르심에 순종했다. 아프리카의 가이아나에 갔던 160명 중 75명이 열병과 풍토병으로 도착하자마자 죽었다. 최초로 그린랜드에 간 한 선교사가 쓴 찬송가는 그들의 태도가 얼마나 강인했는가를 보여준다. “보라, 얼음과 눈을 통해 그리스도에게서 잃어버려진 한 가련한 영혼이 구원 얻도다! 기쁘다 우리는 죽인바 되신 어린 양을 밝히 보이기 위해 곤궁함과 고통을 참도다!”
At that time, the main Protestant groups, busy with establishing doctrine and building the foundation of the church after the Reformation, showed little interest in missions. In this context, the small Christian community of the Moravians saw the vision for global missions. Despite facing great challenges and dangers, they obeyed the call to mission. Of the 160 people sent to Guyana in Africa, 75 died from fever and tropical diseases immediately upon arrival. The hymn written by a missionary who went to Greenland for the first time shows how steadfast their attitude was: “Behold, through ice and snow, a poor soul lost from Christ has been saved! We rejoice, enduring hardships and pain to clearly show the Lamb who was slain!”
그들은 선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전략이 기도인 것을 믿고, 세계 복음화를 위해 100년 동안 24시간 쉬지 않고 기도하는 기도를 드렸다. 그들의 기도를 통해 100년이 지난 후에 본격적인 개신교 선교의 문이 열리게 된 것을 우리는 역사 속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들은 또한 성육신적 선교를 하였다. 아프리카에서 잡혀 온 노예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다가가자 노예들이 그들의 접근을 허락하지 않았다. 복음은 자유인들에게만 유용하다고 노예들이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자 몇몇 모라비안들은 자기 스스로가 노예가 되어 그들과 살면서 복음을 전했다.
They believed that the most important strategy in missions was prayer, and for the sake of world evangelization, they prayed 24 hours a day, non-stop, for 100 years. Through their prayers, we can confirm that, a century later, the door to Protestant missions was fully opened. They also practiced incarnational missions. When they went to preach the gospel to slaves taken from Africa, the slaves initially refused to allow them access, believing that the gospel was only useful to free people. In response, some of the Moravians chose to become slaves themselves, living alongside them and preaching the gospel.
기도제목 Prayer Request
하나님께서는 교회가 말씀에서 벗어나 타락하면 계속 개혁하게 하시고 성경으로 돌아오게 하셨다. 지금 우리가 성경 진리의 말씀에서 벗어난 것들이 있다면 개혁하여 돌이키도록 기도하자. 교회가 세상의 모조품들을 따라가지 않고, 달리 변화될 수 없는 참 진리인 하나님의 말씀, 성경을 믿고 순종하도록 기도하자. 오늘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복음을 가진 예수교회로 성경을 생명 다해 붙잡고 순종해 하나님께 영광이 되도록 기도하자.
God has always led the church to reform whenever it strays from the truth of His Word, bringing it back to the Scriptures. If there are areas in which we have deviated from the truth of the Bible, let us pray for reform and repentance. Let us pray that the church will not follow the imitations of the world, but will believe and obey the true, unchangeable truth of God's Word, the Bible. Today, let us pray that we, as the Jesus Church with the gospel of Jesus Christ's cross, will hold fast to the Bible with all our lives and obey, bringing glory to God.
이로써 그 보배롭고 지극히 큰 약속을 우리에게 주사 이 약속으로 말미암아 너희가 정욕 때문에 세상에서 썩어질 것을 피하여 신성의 성품에 참여하는 자가 되게 하려 하셨느니라(베드로후서 1:4)
"Through these he has given us his very great and precious promises, so that through them you may participate in the divine nature, having escaped the corruption in the world caused by evil desires." (2 Peter 1:4)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로 연합한 예수교회는 성경 말씀대로 믿고 기도하면서 자기 삶의 전부를 선교에 순종해왔다. 초대교회때부터 근.현대의 예수교회들이 선교에 헌신한 열매가 오늘날 우리들이다. 노예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스스로 노예가 되었던 모라비안들과 같이 이 시대의 예수교회가 마지막 남은 선교를 위해 어떻게 순종할 것인지 기도하며 오직 주님만을 따라 갈 것을 결단하며 기도하자.
The Jesus Church, united with Christ through His death and resurrection, has believed in the Scriptures and obeyed, dedicating their entire lives to missions through prayer. The fruit of the devotion to missions by the early church and the Jesus Church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is seen in us today. Like the Moravians who became slaves themselves to preach the gospel to other slaves, let us pray and commit to following the Lord alone, asking how the Jesus Church of our time will obey for the last remaining missions.
믿음으로 모세는 장성하여 바로의 공주의 아들이라 칭함 받기를 거절하고 도리어 하나님의 백성과 함께 고난 받기를 잠시 죄악의 낙을 누리는 것보다 더 좋아하고 그리스도를 위하여 받는 수모를 애굽의 모든 보화보다 더 큰 재물로 여겼으니 이는 상 주심을 바라봄이라(히브리서 11:24-26)
"By faith Moses, when he had grown up, refused to be known as the son of Pharaoh's daughter. He chose to be mistreated along with the people of God rather than to enjoy the fleeting pleasures of sin. He regarded disgrace for the sake of Christ as of greater value than the treasures of Egypt, because he was looking ahead to his reward." (Hebrews 11:24-26)
기도정보 1 [부르키나파소] Prayer Information 1 [Burkina Faso]
“여호와의 선하심을 맛보아 알지어다 그에게 피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
7년간 알카에다 인질이었던 선교사 “하나님은 항상 그곳에 계셨다”
“Taste and see that the Lord is good; blessed is the one who takes refuge in Him.”
Christian Missionary Held Hostage by Al-Qaeda for 7 Years Says, “God Was Always There”
이슬람 테러 조직인 알카에다와 연계된 단체에 인질로 잡혀 있던 한 기독교 선교사가 극심한 고통을 겪으면서도 “하나님이 항상 함께하셨다.”라고 고백했다. 켄 엘리엇(89. Ken Elliott) 박사는 인질로 잡혔을 당시 극한의 더위와 추위, 전갈, 괴혈병에 시달리며 7년 동안 갇혀 있어야 했다.
A Christian missionary who had been held hostage by a group affiliated with the Islamic terrorist organization al-Qaeda confessed, despite enduring severe suffering, that “God was always with me.” Dr. Ken Elliott (89), who was taken hostage, had to endure extreme heat, cold, scorpions, and scurvy for seven years.
그런데도 어떻게 이 모든 고난을 견딜 수 있었냐는 질문에 그는 ‘하나님 때문’이라고 단순하게 대답했다. 켄과 그의 아내는 서아프리카의 부르키나파소에서 수십 년간 의료선교를 하며 환자가 어떤 신앙을 가졌든, 피부색이 어떻든, 혹은 지불 능력이 있든 없든 상관없이 모두에게 동일한 품질의 치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When asked how he managed to endure such suffering, he simply responded, “Because of God.” Ken and his wife had been serving in medical missions in Burkina Faso, West Africa, for decades, providing equal treatment to all patients, regardless of their faith, skin color, or ability to pay.
이러한 헌신 덕분에 그들은 자신들을 서양에서 온 외부인으로 보지 않고, 지역 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졌다. 이 때문에 그들이 납치되었을 때, 무슬림 대다수를 포함한 현지인들이 분노를 표했다. 켄의 아내 조슬린은 몇 주 후 석방됐지만, 켄은 루마니아 출신의 동료 인질인 줄리안 게르굿과 함께 남겨졌다.
Because of their dedication, they were not seen as outsiders from the West, but rather as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This led to local outrage when they were kidnapped, including from many Muslims in the area. Ken's wife, Jocelyn, was released after a few weeks, but Ken remained with Julian Gergood, a Romanian fellow hostage.
켄은 ABC 뉴스 네트워크와의 인터뷰에서 “제가 그를 만났을 때 그는 9개월 동안 인질로 잡혀 있었다고 말했다. ‘어떻게 누군가가 9개월 동안 이 상황을 견딜 수 있을까?’라고 생각했는데, 결국 나는 7년 4개월 동안 그곳에 있었다”라고 말했다.
In an interview with ABC News, Ken shared, "When I met him, he had been a hostage for 9 months. I wondered, 'How could anyone endure this for 9 months?' And in the end, I was there for 7 years and 4 months."
열악한 식단으로 인해 그의 건강은 악화됐고, 비타민C가 부족해 괴혈병에 걸려 다리가 부어오르며 걷지 못하게 되고 지속적인 통증에 시달렸다. 켄은 영국의 복음주의 집회인 케스윅 대회(Keswick Convention)에서 “의사 생활을 하면서 괴혈병 환자를 딱 한 명 봤는데, 그게 바로 나였다”고 말했다.
Due to the poor diet, his health deteriorated, and he contracted scurvy, causing his legs to swell, making walking impossible, and he suffered from continuous pain. Ken shared at the Keswick Convention, a British evangelical gathering, "As a doctor, I saw only one scurvy patient, and that was me."
포로로 잡혀 있는 동안 납치범들은 켄을 이슬람으로 개종시키려고 시도했지만 켄은 자신의 신앙을 굳건히 지키며 사막에서의 길고 외로운 시간에도 희망을 잃지 않았다. 켄은 ABC와의 인터뷰에서 “하나님께서 내게 베푸신 은혜가 크다. 나는 결코 개종하여 그분을 모욕할 생각이 없었다. 심지어 개종하는 척하는 것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During his captivity, the kidnappers attempted to force Ken to convert to Islam, but he steadfastly maintained his faith, never losing hope even in the long, lonely hours in the desert. In his interview with ABC, Ken said, "The grace God has given me is great. I never had any intention of converting and insulting Him. I didn’t even pretend to convert."
하나님이 자신을 버렸다고 생각한 적이 있는지 묻자, 켄은 “절대 없었다. 하나님은 항상 함께 계셨다”고 답했다. 그는 “석방된 유일한 이유는 몇 백, 아니 몇 천 명의 사람들이 기도했기 때문이라고 믿는다. 그리고 우리는 기도의 힘을 믿는다”고 말했다(출처: 복음기도신문).
Asked whether he had ever thought that God had abandoned him, Ken responded, “Never. God was always with me.” He continued, "The only reason I was released was because hundreds, no, thousands of people prayed for me. And we believe in the power of prayer" (Source: Gospel Prayer News).
이 곤고한 자가 부르짖으매 여호와께서 들으시고 그의 모든 환난에서 구원하셨도다 여호와의 천사가 주를 경외하는 자를 둘러 진치고 그들을 건지시는도다 너희는 여호와의 선하심을 맛보아 알지어다 그에게 피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 (시편 34:6-8)
“This poor man called, and the Lord heard him; he saved him out of all his troubles. The angel of the Lord encamps around those who fear him, and he delivers them. Taste and see that the Lord is good; blessed is the one who takes refuge in Him.” (Psalm 34:6-8)
7년간 테러 단체에 의해 납치되었던 켄 엘리엇 선교사님을 열악한 환경과 질병 속에서도 끝까지 믿음을 지키게 해주시고, 악인들의 손에서 건져 주신 주님을 찬양합니다. 환난 중에 있는 지체들을 도우실 능력이 있는 주님께 열방의 교회가 인내로 기도하게 하셔서 주의 선하심을 세상에 나타내 주십시오. 부르키나파소의 영혼들을 위해 교회와 선교사들이 끝까지 순종하여 그들이 생명의 빛 되신 주께 돌아오게 하옵소서.
We praise the Lord for keeping missionary Ken Elliott steadfast in faith through harsh conditions and sickness during his 7 years of captivity by a terrorist group, and for delivering him from the hands of the wicked. We ask the Lord, who has the power to help those in distress, to guide the churches of the nations to pray with perseverance, revealing His goodness to the world. May the churches and missionaries in Burkina Faso continue to obey, leading the souls of the people to return to the Lord, the light of life.
기도정보 2 [스위스] Prayer Information 2 [Switzerland]
“너희에게 복이 있나니 기뻐하고 즐거워하라”
"Blessed are you when people insult you, persecute you and falsely say all kinds of evil against you because of me"
박해받는 기독교인을 위한 집회 열려
Gathering for Persecuted Christians
8월 31일, 스위스 베른에 위치한 연방 의회 광장에서 열린 ‘박해. 지금(Persecution.now)’ 집회에 약 1,000명의 참가자들이 모여 전 세계에서 종교적 이유로 박해받는 사람들, 특히 기독교인들이 신앙 때문에 박해받고 있는 현실에 목소리를 높였다고 에반젤리컬포커스가 지난 2일 전했다.
On August 31st, about 1,000 participants gathered in the Federal Square in Bern, Switzerland, for the 'Persecution.now' rally, raising their voices about the ongoing persecution faced by people around the world for religious reasons, especially Christians being persecuted for their faith, as reported by Evangelical Focus on September 2nd.
이날 두 명의 박해 피해자 연설은 사람들에게 인권 침해에 맞서 행동할 것을 촉구했다. 무슬림이었다가 기독교인이 된 아민 아프샤르나데리는 기독교 신앙 때문에 이란에서 두 번이나 수감된 경험을 이야기했다. 그는 “반복적인 심문, 모욕, 굴욕, 신앙을 포기하고 다른 기독교인들을 배신하라는 압력을 받았다. 예수 그리스도가 함께하지 않았다면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Two victims of persecution spoke at the event, urging people to act against human rights violations. Amin Afsharnadiri, who converted from Islam to Christianity, shared his experience of being imprisoned twice in Iran because of his Christian faith. He said, “I was subjected to repeated interrogations, insults, and humiliation, pressured to abandon my faith and betray other Christians. I am certain that I would not have survived without the presence of Jesus Christ.”
그는 자신의 이야기가 특별한 것이 아니라고 강조하며 “이란의 기독교인들은 끊임없는 압박과 두려움 속에 살고 있으며 직장을 잃거나 재산을 잃는다”고 설명했다.
He emphasized that his story was not unique, explaining, “Christian believers in Iran live under constant pressure and fear, losing their jobs and property.”
보안상의 이유로 이름과 아시아 출신 국가를 밝히지 않은 두 번째 연사도 여러 차례 감옥과 고문을 직접 경험했다. 그는 다른 사람들이 공개 처형되는 것을 목격하기도 했다. 그는 “기독교는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모든 새로운 법은 기독교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The second speaker, whose name and country of origin in Asia were not disclosed for security reasons, also shared his direct experiences of imprisonment and torture. He had witnessed public executions. He stated, “Christianity is seen as a threat to national security, and every new law is aimed at eradicating Christians.”
현재 유럽에 살고 있는 이 남성은 자신의 나라에서 기독교 신앙을 근절하는 것은 아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 신앙은 내가 가장 어두운 감옥과 고통 속에서도 견뎌낸 믿음”이라고 말했다. 두 사람은 자유로운 나라 스위스에 사는 사람들이 전 세계적으로 신앙 때문에 박해받는 이들을 위해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Currently living in Europe, this man said it is still impossible to eradicate Christian faith in his home country. He added, “This faith is the one I have endured in the darkest prisons and through intense suffering.” Both speakers urged people living in the free country of Switzerland to speak out on behalf of those who are persecuted for their faith worldwide.
그들은 기도, 박해받는 이들을 지역 교회로 초대, 인권을 침해하는 정부에 정치적 압력을 가하는 것, 종교의 자유를 위해 헌신하는 단체들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특히 미디어 전문가들이 자신의 플랫폼을 활용해 이 문제를 다룰 것을 촉구했다.
They suggested actions such as prayer, inviting persecuted individuals to local churches, applying political pressure to governments violating human rights, and supporting organizations dedicated to religious freedom. They particularly called on media professionals to use their platforms to address this issue.
행사 참가자 중에는 국민의회 의원인 로랑 베흘리도 있었다. 그는 여러 의회 동료들과 함께 정기적으로 여러 국가에서 기독교인들의 상황에 대해 정보를 얻고 관련 대사관에 의견을 전달하고 있다. 그는 “우리가 캠페인을 벌인 54명의 수감자 중 24명이 조기 석방됐다”고 말했다. 로랑 베흘리는 박해받는 기독교인이 3억 6,500만 명에 달하는 상황에서 이 숫자가 미미하게 들릴지라도 “이들을 위해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출처: 복음기도신문 종합).
Among the event’s participants was Laurent Béhli,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who, along with several colleagues, regularly gathers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 of Christians in various countries and communicates their concerns to the relevant embassies. He mentioned, "Of the 54 prisoners we campaigned for, 24 were released early." Laurent Béhli expressed his belief that even though the number of persecuted Christians—around 365 million—may seem small, “We must raise our voices for them” (Source: Gospel Prayer News).
다만 이뿐 아니라 우리가 환난 중에도 즐거워하나니 이는 환난은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루는 줄 앎이로다 소망이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 아니함은 우리에게 주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은 바 됨이니(로마서 5:3-5)
"Not only so, but we also glory in our sufferings, because we know that suffering produces perseverance; perseverance, character; and character, hope. And hope does not put us to shame, because God’s love has been poured out into our hearts through the Holy Spirit, who has been given to us." (Romans 5:3-5)
하나님, 박해받는 교회를 위해 스위스의 기독교인들이 그들의 아픔을 외면하지 않고 한마음으로 기도하며 적극적으로 돌아보는 마음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주님이 이루실 믿음의 역사에 전 세계 교회가 이 기도에 동참하게 하시고, 많은 성도들이 고난 중에도 믿음을 굳게 하여 주십시오. 이렇게 믿음을 지키는 증인들을 통해 복음이 생명으로 흘러가게 하셔서 하나님의 사랑이 열방에 이뤄지게 하여 주소서.
Lord, thank You for giving the Christians in Switzerland the heart to actively pray for and care for the persecuted church, not turning a blind eye to their pain. May the global church join in this prayer, taking part in the work of faith that You will accomplish. Strengthen many believers to hold fast to their faith even in the midst of suffering. Through these faithful witnesses who keep their faith, may the gospel flow as a source of life, and may Your love reach the nations.
기도정보제공 : 기도24·365본부
Prayer Information Provided by: Prayer 24·365 Headquarters
'집필공간 > 예수교회회복24시간기도정보_영문번역초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18장. 영적전쟁하는 예수교회! (영어 번역 초안) (0) | 2025.04.15 |
---|---|
14장. (0) | 2025.04.09 |
12장 (예수 교회 회복을 위한 24시간 기도정보 영어 번역 초본) (0) | 2025.04.08 |
11장 (예수 교회 회복을 위한 24시간 기도정보 영어 번역 초본) (1) | 2025.04.08 |
10장 (예수 교회 회복을 위한 24시간 기도정보 영어 번역 초본)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