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집필공간/예수교회회복24시간기도정보_영문번역초안

12장 (예수 교회 회복을 위한 24시간 기도정보 영어 번역 초본)

12 종교개혁시대의 예수교회  The Jesus Church of the Reformation Era


1.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The Righteous Shall Live by Faith Alone!

 

1517년 10월 31일, 마틴 루터가 비텐베르크성당 정문에 95개의 반박문을 게시함으로 종교개혁이 시작되었다. 로마 가톨릭 교회의 그릇된 가르침에 반대하며, 오직 믿음, 오직 은혜, 오직 성경을 모토로 종교개혁의 문이 활짝 열렸다. 마틴 루터는 종교개혁에 있어 선구적인 역할을 감당했다. 독일어로 쓴 그의 반박문은 2주 만에 독일인들 모두가 읽게 되었고, 라틴어로 번역되어 두 달 만에 온 유럽이 다 읽게 된다. 그는 지난 1000년 동안 누구도 말해주지 않았던 믿음, 은혜, 칭의 등을 성경적으로, 역사적으로 증명하면서 바울과 어거스틴의 신앙을 회복하게 했다.

On October 31, 1517, Martin Luther initiated the Reformation by posting his 95 Theses on the door of the Wittenberg Castle Church. In opposition to the erroneous teachings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the door to the Reformation was opened with the mottos: sola fide (faith alone), sola gratia (grace alone), and sola scriptura (scripture alone). Martin Luther played a pioneering role in the Reformation. His theses, written in German, were read by all Germans within two weeks, and translated into Latin, they reached all of Europe within two months. He biblically and historically proved the doctrines of faith, grace, and justification, restoring the faith of Paul and Augustine that had been lost for the previous 1000 years.

그의 뒤를 이어 멜랑히톤이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서를 작성하며 독일의 종교개혁을 이끌어 갔다. 그리고 종교개혁자 츠빙글리는 루터와 비슷한 시기에 스위스 종교개혁을 이끌었다. 그는 스위스가 로마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사이에서 번민하고 있을 때, 프로테스탄트 대표로 나가기도 했다. 뒤를 이어 하인리히 불링거가 취리히의 지도자가 되어 종교개혁 신앙을 이어가게 되었다.

"Following Luther, Philipp Melanchthon wrote the Augsburg Confession and led the German Reformation. Meanwhile, Ulrich Zwingli, a Reformer in Switzerland, led the Swiss Reformation around the same time as Luther. He stepped forward as the Protestant representative when Switzerland was caught between Roman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Later, Heinrich Bullinger became the leader of Zurich and continued the Reformation faith.

루터로부터 시작된 종교개혁은 존 칼빈에게 와서 꽃을 피웠다. 그는 종교개혁 2세대 인물로서 스위스 제네바에서 목회했다. 그의 종교개혁은 단순히 신학적인 개혁을 넘어서서 삶의 변화와 사회개혁으로까지 이어졌다. 그는 특히 사회복지 사역들을 통해 빈민 구제에 힘썼고, 프랑스 기금을 조성해 신앙의 자유를 찾아 제네바로 온 피난민들을 도왔다. 제네바 아카데미를 통해 다음 세대를 믿음으로 세우기 위해 애썼다. 이는 고스란히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자 존 낙스에게 이어졌고, 그의 개혁신학은 1563년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1619년 도르트 신경, 1646년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통해 고스란히 남겨졌다.

The Reformation that began with Luther flourished under John Calvin. As a 2nd-generation Reformer, he pastored in Geneva, Switzerland. Calvin's Reformation went beyond just theological reform to bring about societal and life changes. He dedicated himself to social welfare work, particularly in helping the poor, and established a fund to assist refugees who came to Geneva seeking religious freedom. Through the Geneva Academy, he worked hard to build the next generation in the faith. This continued with John Knox, the Scottish Reformer, and his reformed theology was passed down through the Heidelberg Catechism of 1563, the Canons of Dort of 1619, and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in 1646."

영국에서는 성공회를 국교로 확립하려는 엘리자베스1세 여왕에게 반대하며, 스코틀랜드의 장로교회를 모범적 교회로 삼아 개혁하고자 소망했던 이들이 생겨난다. 그들을 가리켜서 ‘청교도’라고 부른다. 이들은 국교회의 억압에 견디지 못하고 결국 제임스1세 때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아메리카를 향해 떠난다. 그리고 얼마 후 찰스1세 때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전통을 회복하려는 왕과 귀족들에 대항해 의회파 중심의 프로테스탄트들이 들고 일어나 청교도 혁명을 일으킨다. 그 결과 의회파 수장이었던 올리버 크롬웰은 청교도 혁명을 승리로 이끌고,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모여 개혁교회들의 통일된 웨스트민스터 대요리, 소요리문답서를 작성한다.

In England, a group of people emerged who opposed Queen Elizabeth I's establishment of the Church of England as the national church, aspiring instead to reform the church by following the example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Scotland. These individuals came to be known as the 'Puritans.' Unable to endure the oppression of the national church, they eventually sailed to America aboard the Mayflower during the reign of King James I. Shortly afterward, during the reign of Charles I, a civil war broke out as Protestant parliamentarians rose against the king and the aristocracy, who sought to restore Roman Catholic traditions. The result was the Puritan Revolution, led by Oliver Cromwell, who led the Parliamentarians to victory. They gathered at Westminster Abbey to draft the Westminster Larger and Shorter Catechisms, which unified the Reformed churches.


2. 나 대신 죄가 되신 그리스도를 믿은 마틴 루터 Martin Luther Who Believed in Christ Who Became Sin on My Behalf 

비텐베르크 대학의 교수가 된 루터는 교회의 전통이 아닌 성경이 말하는 십자가 복음을 깨닫기 시작했다. 시편 22편 “내 하나님이여, 내 하나님이여, 어찌 나를 버리셨나이까? 어찌 나를 멀리하여 돕지 아니하옵시며 내 신음하는 소리를 듣지 아니하시나이까?” 이 구절을 읽으며 루터는 자신의 비참한 모습을 떠올렸다. 그러나 다음 순간, 이 시편이 자신이 아닌 그리스도를 묘사한 글임을 깨달았다. “어째서? 어째서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가 버림을 당해야 한단 말인가? 나 자신이 버림을 당하는 것은 얼마든지 타당한 일이다. 나는 악하고 불순하고 불경건하니 말이다. 그러나 그리스도는 악하지도 불순하지도 불경건하지도 않으신데…. 어째서?” 루터는 벼락에 맞는 것 같았다.

“하나님으로부터 버림받을 수밖에 없는 나 대신, 그리스도가 친히 하나님으로부터 버림을 받았다. 죄 없으신 그리스도가 내 죄를 담당하시고 내 대신 죄가 되셨다.” 

루터는 1515년부터 이듬해까지 2년간 비텐베르크 대학에서 로마서 강해 수업을 맡았다. 그는 로마서를 통해 “나는 바울의 로마서를 이해하기를 그렇게도 소원했다. 그런데 ‘하나님의 공의’라는 말을 이해할 수 없었지만 ‘하나님의 공의’와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라는 말씀을 연결함으로 그 뜻을 깨닫게 되었다. ‘의(義)’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와 자비를 통해서 의롭다고 여겨 주시는 하나님의 의(義)였다. 이 진리를 깨달았을 때 나는 새로 태어난 것 같았다. 마치 천국의 문이 열려서 내가 그 속으로 들어가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는 믿음을 갖게 되었다.

마틴 루터가 1517년 비텐베르크 성당 정문에 95개조의 반박문을 붙인 이후 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폭발적이었다. 이러한 그의 영향력을 잠재우기 위해 로마 가톨릭은 하이델베르크에서 열리는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의 독일 분회에서 그에게 자신의 입장을 밝혀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 하이델베르크 논쟁에서 루터는 고난과 십자가를 통해 하나님을 알 수 있다고 하는 “십자가 신학”을 발표하였다. 이 세상의 화려함과 권력을 추구하는 로마 가톨릭의 “영광의 신학”을 정면으로 비판한 것이다. 루터는 바울에게 계시된 복음을 따라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인간의 지혜, 철학과 양립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니라 보다 더 어리석고 공격적입니다. 십자가는 영감을 주는 것이 아니라 걸려 넘어지는 돌입니다. 그러므로 참된 신학자는 가시적이고 분명한 것들을 논하는 자가 아닙니다. 오히려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 안에 숨어 계시는 방식인 십자가로부터 배우는 자”라고 주장하였다.

After becoming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Wittenberg, Luther began to realize the cross gospel as it was described in the Bible, rather than the traditions of the church. When he read Psalm 22, “My God, my God, why have you forsaken me? Why are you so far from saving me, so far from the words of my groaning?” Luther recalled his own miserable condition. But in the next moment, he realized that this psalm was describing not himself, but Christ. “Why? Why must the Son of God, Jesus Christ, be forsaken? It is only fitting for me to be forsaken. I am wicked, impure, and ungodly. But Christ is not wicked, impure, or ungodly… Why?” Luther felt as though he had been struck by lightning.

“Instead of me, who deserved to be forsaken by God, Christ was forsaken by God. The sinless Christ took on my sins and became sin for me.”

From 1515 to the following year, Luther taught a course on the book of Romans at the University of Wittenberg. Through Romans, he said, “I longed to understand Paul’s letter to the Romans. However, I could not understand the phrase ‘the righteousness of God,’ but by connecting ‘the righteousness of God’ with the words ‘the righteous will live by faith,’ I was able to grasp its meaning. ‘Righteousness’ was the righteousness of God that He freely gave through His grace and mercy. When I understood this truth, I felt as though I were born again. It felt like the door of heaven was opened, and I was entering it.”

After Martin Luther posted his 95 Theses on the door of the Wittenberg Church in 1517, social interest in him exploded. To suppress his influence, the Roman Catholic Church asked him to clarify his position at the German branch of the Augustinian Order in Heidelberg. In this Heidelberg Disputation, Luther presented his “theology of the cross,” claiming that one could know God through suffering and the cross. He directly criticized the “theology of glory”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which pursued worldly splendor and power. Luther argued, following the gospel revealed to Paul, that “the cross of Christ is not a concept that can coexist with human wisdom and philosophy, but rather is even more foolish and offensive. The cross does not inspire but is a stumbling block. Therefore, the true theologian is not one who discusses visible and clear things. Rather, it is one who learns from the cross, the way in which God is hidden in the revelation of Jesus Christ.”"


기도제목 Prayer Requests

로마서에서 계시된 십자가의 복음을 만난 한 영혼의 회심이 불씨가 되어 종교개혁까지 일어나게 되었다. 그는 하나님의 영광이 모욕받는 것을 견딜 수 없었으며 그분의 영광을 빼앗는 모든 것을 대적하며 일어섰다. 지금 우리의 교회들이 중세의 교회들처럼 화석화된 종교의식을 행하며 많은 죄악들을 범하고 있는지 정직하게 돌아보자. 성경을 보면서 오직 복음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지 못하는 우리에게 로마서에 계시된 십자가의 복음을 밝히 드러내 주시도록 기도하자.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세상과 타협하지 않으며 진리에 목숨을 거는 예수교회로 일으켜 주시도록 기도하자. 

The conversion of a soul who encountered the gospel of the cross revealed in Romans became the spark that ignited the Reformation. He could not bear the dishonor of God's glory and rose up against everything that took away His glory. Let us honestly reflect if our churches today, like the churches of the Middle Ages, are performing fossilized religious rituals and committing many sins. As we read the Bible, let us pray that the gospel of the cross revealed in Romans will be clearly revealed to us, those who do not believe in Jesus Christ, who is the gospel. Let us pray that He will raise up the Jesus Church, which is not ashamed of the gospel, does not compromise with the world, and stakes its life on the truth.

내가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노니 이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 됨이라 먼저는 유대인에게요 그리고 헬라인에게로다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로마서 1:16-17)


For I am not ashamed of the gospel, because it is the power of God that brings salvation to everyone who believes: first to the Jew, then to the Gentile. For in the gospel the righteousness of God is revealed—a righteousness that is by faith from first to last, just as it is written: "The righteous will live by faith (Romans 1:16-17).


오직 믿음으로만 구원받을 수 있는 이 은혜를 깨닫기 위해서는 우리 자신에게 그 어떤 선한 것도 나올 수 없다는 존재적 절망이 선행되어야 한다. 끊임없이 죄 된 나의 모습을 직면할 때마다 자신을 스스로 십자가에 못 박아 죽이려는 ‘자아 죽이기’가 불가능하다는 결론 앞에 세워주시도록 기도하자. 나를 근거 삼는 행위와 최선이 아닌 십자가의 예수 그리스도만이 하나님의 능력이며 지혜임을 선포하자.

To understand this grace, that we are saved by faith alone, we must first face the existential despair that no good can come from ourselves. Let us pray that when we constantly face our sinful selves, we will be led to the conclusion that "self-crucifixion" — trying to crucify and kill our own ego — is impossible. Let us declare that our actions based on ourselves and anything less than the cross of Jesus Christ are not the power and wisdom of God.

유대인은 표적을 구하고 헬라인은 지혜를 찾으나 우리는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를 전하니 유대인에게는 거리끼는 것이요 이방인에게는 미련한 것이로되 오직 부르심을 받은 자들에게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능력이요 하나님의 지혜니라(고린도전서 1:22-24)

Jews demand signs and Greeks look for wisdom, but we preach Christ crucified: a stumbling block to Jews and foolishness to Gentiles, but to those whom God has called, both Jews and Greeks, Christ the power of God and the wisdom of God (1 Corinthians 1:22-24).

 


기도정보 1 [노르웨이]

Prayer Information 1 [Norway]

“오직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하여 범사에 그에게까지 자랄지라”

기독 단체들, 성·결혼·아동 권리 등 성경을 근거로 교육하기로 서명

“Speaking the truth in love, we will grow to become in every respect the mature body of him who is the head, that is, Christ.”

Christian Organizations Sign to Teach Biblical Values on Gender, Marriage, and Children’s Rights


노르웨이의 38개 기독 단체들이 성별, 결혼, 아동의 권리에 대해 성경적 가치관과 과학을 근거로 교육하기로 했다고 에반젤리컬 포커스가 21일 전했다. 

According to Evangelical Focus, 38 Christian organizations in Norway have signed an agreement to educate based on biblical values and science concerning gender, marriage, and children’s rights.


노르웨이에서 신학적으로 자유로운 노르웨이 루터교회(덴 노르스케 키르케(Den Norske Kirke))가 동성 결혼을 허용하고 엘지비티(LGBTQI) 신학과 성적 다양성 정책을 받아들여, 역대 정부가 추진한 법률을 따르고 있다.

The theologically liberal Church of Norway (Den Norske Kirke) has allowed same-sex marriage and adopted LGBTQI theology and sexual diversity policies, in line with laws pushed by successive governments.


반면, 결혼과 성에 대한 역사적 관점을 고수하는 기독 단체들(오퍼레이션 모빌리제이션, 학생운동 라겟, 노르웨이 루터교회 선교단체 포함)은 교회 단체들과 함께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고, 생물학적 현실을 인정하며, 아동의 인권을 존중하는” 입장을 선언했다.

In contrast, Christian organizations that hold to the historical view on marriage and sexuality (including Operation Mobilization, the student movement LAGET, and the Norwegian Lutheran Church Missionary Organization) have declared with church organizations that they “believe the Bible is the Word of God, acknowledge biological reality, and respect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노르웨이의 연합 기독 단체인 ‘펠레스크리스텐(felleskristen)’이 선언한 ‘성별과 성 다양성에 대한 공동 기독교 선언’ 문서에는 “하나님이 인간을 남성과 여성으로 창조하셨다”는 성경의 가르침과 “결혼은 자연법에 새겨진 신성한 제도”로서 “남성과 여성을 결합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결합을 벗어난 성적인 관계는 “성경의 창조 신학과 예수님의 윤리적 가르침과 상충된다”고 강조했다.

In the “Joint Christian Declaration on Gender and Sexual Diversity” released by the Norwegian ecumenical group Felleskristen, the Bible's teaching that "God created humanity as male and female" and the emphasis on "marriage as a sacred institution engraved in natural law" is highlighted. It also emphasizes that “sexual relations outside of this union contradict the theology of creation in the Bible and the ethical teachings of Jesus Christ.”


또한 “생물학적 성별은 단 두 가지뿐”이며, “이는 수정될 때에 이미 확인할 수 있다”며 “성별은 주관적인 범주이고 생물학적 성별과 상관없이 감정이나 선호에 따라 성적 정체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 개념은 이데올로기에 근거한 것이며, 생물학적 또는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설명했다.

Moreover, the declaration states that "there are only two biological sexes" and that "this can already be determined at conception." It adds, "Gender is a subjective category, and the idea that one can freely choose sexual identity based on emotions or preferences, regardless of biological sex, is ideologically based and has no biological or scientific foundation."

기독 단체들은 어린이에게 “잘못된 몸으로 태어났다”거나 “성별은 유동적”이라는 가르침은 “혼란, 불안, 파괴적인 삶의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심각한 문제”라고 경고했다.

The Christian organizations warned that teaching children that they were “born in the wrong body” or that “gender is fluid” could lead to "confusion, anxiety, and destructive life choices" and thus is a "serious issue."

단체들과 교회들은 “우리는 ‘사랑 안에서 진리를 말하며’(엡 4:15) 모든 사람을 존중하고 이성적이고 친절하게 대하고자 한다. 하지만 우리는 정치적 압력이나 사회적 흐름과 충돌하더라도 성경의 진리에 대해서는 타협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The organizations and churches stated, “We want to speak the truth in love (Ephesians 4:15), treating everyone with respect and kindness. However, we will not compromise on the truth of the Bible, even when it conflicts with political pressures or societal trends.”

이들은 정부가 “시민들과 단체들에 ‘퀴어 이론’의 성별, 성적 정체성, 결혼 개념을 강요하는 것은 권한 남용”이라고 주장하며, 이는 “종교의 자유와 양심의 자유, 부모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They argued that the government’s attempt to impose “queer theory” on gender, sexual identity, and marriage is an abuse of power and an infringement on the freedom of religion, conscience, and parental rights.

노르웨이 평등부(Ministry of Equality) 장관인 루브나 자페리(Lubna Jaffery)는 이 선언문의 일부 내용이 ‘추잡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녀는 “퀴어 기독교인들”이 “이러한 조직에서 특별히 환영받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출처: 복음기도신문 종합).


Lubna Jaffery, the Minister for Equality in Norway, reacted to parts of the declaration, calling it "disgraceful." She pointed out that "queer Christians" would not be particularly welcomed by these organizations (Source: Gospel Prayer News).

이는 우리가 이제부터 어린 아이가 되지 아니하여 사람의 속임수와 간사한 유혹에 빠져 온갖 교훈의 풍조에 밀려 요동하지 않게 하려 함이라 오직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하여 범사에 그에게까지 자랄지라 그는 머리니 곧 그리스도라(에베소서 4:14-15)

Then we will no longer be infants, tossed back and forth by the waves, and blown here and there by every wind of teaching and by the cunning and craftiness of people in their deceitful scheming. Instead, speaking the truth in love, we will grow to become in every respect the mature body of him who is the head, that is, Christ (Ephesians 4:14-15). 

하나님, 동성애와 성적 다양성을 추구하는 법률에 타협한 대다수 노르웨이 교회 가운데 진리를 수호하는 믿음의 증인들을 세워주심에 감사를 드립니다. 성경적 가르침을 추잡하다 여기며 복음을 대적하는 이 땅의 영혼들을 꾸짖으사 겸손히 창조주 앞에 서는 은혜를 주소서. 이 땅을 잠식시킬 온갖 거짓된 교훈의 풍조가 날로 간사해져 가지만, 교회를 복음으로 세우사 요동치 않고 진리를 선포케 하옵소서. 그리하여 이 나라의 가정과 다음세대가 사랑 안에서 그리스도에게까지 자라 거룩한 예수교회로 일어나게 하소서.

Lord, we thank You for raising up faithful witnesses to uphold the truth amidst the majority of Norwegian churches that have compromised with laws supporting homosexuality and sexual diversity. Rebuke the souls of this land that regard biblical teachings as disgraceful and oppose the gospel, and grant them the grace to stand humbly before the Creator. The tide of false teachings that is overtaking this land becomes more cunning by the day, but may the church be established in the gospel, steadfast and proclaiming the truth. May the families and next generations of this nation grow in love and maturity in Christ, becoming a holy Jesus Church.


기도정보 2 [몰도바] Prayer Information 2 [Moldova]

“그리스도의 사랑이 그를 위해 살게 하려함이라”
러시아 통제 몰도바, 기독교 부흥 일어나

“The love of Christ compels us”
Christian Revival in Russia-controlled Moldova



러시아가 통제하고 있는 국가 몰도바(Moldova)에서 러시아의 강압 속에서도 부흥이 일어나고 있다고 CBN뉴스가 4일 보도했다. 

In Moldova, a country controlled by Russia, revival is taking place despite the pressure from Russia, as reported by CBN News on the 4th.

‘구주그리스도교회(Church of Christ Savior)’의 유리 세메뉴크(Yuriy Semenyuk) 목사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해 2000년, 몰도바의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으로 가족과 함께 이주했다.
그는 “내 마음속에는 사람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 그것이 바로 내가 사람들을 섬기는 열정이다. 나는 하나님을 사랑하며 평생 하나님을 위해 무언가를 하고 싶었다. 얼마 후 하나님께서 ‘내가 너를 필요로한 곳은 트란스니스트리아라는 곳이다’라고 말씀하셨다”고 말했다.

Pastor Yuriy Semenyuk of the Church of Christ Savior obeyed God's calling and moved with his family to the Transnistria region of Moldova in 2000. He said, “I have a heart to love people. That’s the passion that drives me to serve them. I love God and wanted to do something for Him all my life. Shortly after, God told me, ‘The place I need you is Transnistria.’”

 


그는 선교사로서 첫 7년간의 선교사역이 쉽지 않았다고 한다. 그 이유로 “나는 정부 인사들, 경찰, KGB 요원, 그리고 갱단원들로부터 표적이 되었다. 가장 심각했던 것은 갱단원이었다. 그들은 나를 죽이려 했고 아이들을 납치하려고 했다. 한 번은 납치되었지만, 감사하게도 하나님 덕분에 탈출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His first seven years as a missionary were not easy. He explained, "I became a target of government officials, police, KGB agents, and gang members. The most serious threats came from the gang members. They tried to kill me and kidnap my children. I was kidnapped once, but thankfully, by God’s grace, I was able to escape."

2000년 5월의 한 영상에는 세메뉴크 목사가 처음 설교를 시작하는 장면이 담겨 있다. 지속적인 위협에도 불구하고 그는 복음을 전파하는 일을 멈추지 않았으며, 종종 갱단이 지배하는 지역으로도 그는 메시지를 전하러 갔다. 세메뉴크 목사는 “갱단원 중 일부가 그리스도인이 됐고, 그들의 아내들도 복음주의자가 됐다. 그래서 그들은 우리를 막으려 했다”고 말했다.

A video from May 2000 shows Pastor Semenyuk delivering his first sermon. Despite the continuous threats, he never stopped preaching the gospel and often went into areas controlled by gangs to deliver his message. Semenyuk said, "Some of the gang members became Christians, and their wives became evangelicals. That’s why they tried to stop us."

1990년에 트란스니스트리아는 몰도바에서 독립을 선언하고 자체 정부, 통화를 결정하고 국가체제를 갖췄다. 비록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했지만, 이 지역은 경제적, 정치적, 군사적으로 러시아에 의존하게 됐다. 현재 러시아는 이곳에 약 2,000명의 병력을 주둔시키고 있다.

In 1990, Transnistria declared independence from Moldova, establishing its own government, currency, and national system. Although not recognized internationally, the region became economically, politically, and militarily dependent on Russia. Currently, Russia has stationed approximately 2,000 troops in the region.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이 러시아의 영향력 아래 들어가면서 세메뉴크 목사가 러시아의 요원들로부터 감시와 괴롭힘을 당하기 시작했지만 굴하지 않았다. 그는 매일 아침 일어나면 ‘유리, 아직 살아 있어. 오늘도 복음을 전할 기회가 있어. 하나님 나라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한 가지 더 있구나’라고 스스로에게 말한다.

As Transnistria came under Russian influence, Pastor Semenyuk began facing surveillance and harassment from Russian agents but stood firm. Every morning, he tells himself, "Yuriy, you’re still alive. You have the opportunity to preach the gospel today. There is one more thing you can do for the Kingdom of God."


구주 그리스도교회는 24년이 지난 지금 주일마다 수백 명이 교회에 모이며, 그중 많은 이들이 복음 메시지를 처음 듣는다. 목사는 교회가 성장한 비결에 대해 “우리는 하나님을 사랑한다. 우리는 그분의 말씀과 성령에 순종하려고 최선을 다한다. 그리고 사람들을 사랑하기 때문에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그들을 돕는다”고 말했다.

Now, after 24 years, the Church of Christ Savior gathers hundreds of people every Sunday, many of whom hear the gospel message for the first time. Pastor Semenyuk explained the church’s growth, saying, “We love God. We do our best to obey His word and the Holy Spirit. And because we love people, we help them in every way we can.”


이 지역 주민 대다수는 러시아의 일부가 되길 원하지만, 블라디미르 푸틴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전쟁이 곧 자신들의 문턱에도 닥칠 수 있다는 우려를 가지고 있다. 세메뉴크는 두려워하지 않고 갈등이 우려되는 상황에서도 남아있을 계획이다. 그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복음을 전하고 제자를 삼으라고 하셨다. 전쟁이든 아니든, 우리 주변에서 어떤 상황이 펼쳐지든 간에 우리의 소명은 언제나 같다”고 말했다(출처: 복음기도신문 종합).

Most of the local residents want to be part of Russia, but after Vladimir Putin's invasion of Ukraine, they are concerned that war could soon reach their doorstep. Pastor Semenyuk, however, plans to stay in this uncertain and potentially dangerous situation. He said, "God has told us to preach the gospel and make disciples. Whether it’s war or anything else, no matter what situation unfolds around us, our calling remains the same(Source: Gospel Prayer News, Comprehensive Report).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를 강권하시는도다 우리가 생각하건대 한 사람이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었은즉 모든 사람이 죽은 것이라 그가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으심은 살아 있는 자들로 하여금 다시는 그들 자신을 위하여 살지 않고 오직 그들을 대신하여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신 이를 위하여 살게 하려 함이라(고린도후서 5:14,15)

For the love of Christ compels us, because we are convinced that one died for all, and therefore all died. And He died for all, that those who live should no longer live for themselves but for Him who died for them and was raised again." (2 Corinthians 5:14-15)


하나님, 러시아의 통제 가운데 있는 몰도바에 하나님을 사랑하여 말씀에 순종하는 증인을 통해 박해 가운데서도 죄인을 구원하시는 복음의 능력을 외치게 하시니 감사합니다. 정부 관계자뿐 아니라 갱단원들의 표적이 되어 괴롭힘과 감시 가운데 있는 목사님과 성도들 안에 있는 사랑과 소망을 이들도 발견하여 죄에서 돌이켜 주를 위해 사는 은혜를 주옵소서. 이 같은 기쁜 소식으로 인하여 열방의 고난과 박해 가운데 있는 교회가 힘을 얻게 하시고, 그리스도의 강권하시는 사랑을 힘입어 복음 전파의 소명으로 충만하게 하소서.

Lord, we thank You for raising up witnesses who love You and obey Your word in Moldova, under Russian control. Through them, let the power of the gospel be proclaimed, saving sinners even in the midst of persecution. May the love and hope that are in the hearts of Pastor Semenyuk and the congregation, who have been targeted by both government officials and gang members, be discovered by others, turning them away from sin and into living for You. Through this joyful news, may churches in nations suffering from persecution be strengthened, and filled with the calling to preach the gospel, empowered by the love of Christ. 

 

 

 

Prayer Information Provided by: Prayer 24·365 Headquar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