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집필공간/예수교회회복24시간기도정보_영문번역초안

14장.

14. 한국 기독교 역사의 예수교회
The Jesus Church in the History of Korean Christianity

1. 조선에 하나님의 사랑을 전한 예수교회들
Jesus Churches That Brought the Love of God to Joseon


선교사보다 복음이 먼저 들어왔다
The Gospel Came Before the Missionaries

전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조선 선교의 놀라운 특징은 ‘선교사보다 복음이 먼저 들어왔다’라는 것이다. 1866년 한국 최초의 선교사인 토마스 선교사는 상선 제너럴셔먼호를 타고 대동강으로 들어와 죽음에 직면하게 된다. 그는 죽기 직전 성경이 들어있는 작은 보따리를 박춘권이란 졸병에게 건네게 된다. 1899년, 토마스 선교사가 순교한 지 33년이 지난 때 마펫 선교사 앞에서 한 남자가 이런 간증을 하였다. “목사님, 저는 이제 더 이상 이대로는 못살겠습니다. 제가 토마스 선교사를 죽인 박춘권입니다. 그때 그가 죽어가면서 제게 주었던 작은 보따리가 있었는데, 그것은 성경책이었습니다. 그것을 읽고 제 마음에 찔려서 이렇게 목사님을 찾아왔습니다. 제가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당시 토마스 선교사는 대동강에서 500여권의 성경을 위급하게 뿌렸고, 그 중 일부를 박영식이라는 평양감청 경비가 가져가 여관 벽을 도배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후에 회심한 박영식은 자신의 집을 평양 최초의 교회인 널다리 골 예배당으로 내놓게 된다. 이렇듯 조선은 선교사보다 먼저 복음을 접하고, 그 복음으로 준비된 나라였다. 소래교회는 1884년 서상륜, 서경조 형제에 의해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교회이다. 서상륜은 만주지역에서 존 로스 선교사와 함께 최초로 한글 성경을 번역하고 보급하는 일에 힘썼고, 그의 동생 서경조도 황해도 소래에서 성경을 배부하며 전도에 힘썼다.

The remarkable feature of Korean mission history, which is unprecedented worldwide, is that “the Gospel came before the missionaries.” In 1866, Thomas, the first missionary to Korea, sailed into the Daedong River aboard the General Sherman ship and faced death. Just before his death, he handed a small bundle containing the Bible to a soldier named Park Chun-gwon. In 1899, 33 years after Thomas' martyrdom, a man shared the following testimony in front of missionary Maphet: “Pastor, I can no longer live like this. I am the one who killed Thomas the missionary. He gave me a small bundle while dying, and it was a Bible. I read it and was convicted in my heart, so I came to you. What should I do?” Thomas had urgently distributed 500 Bibles along the Daedong River, some of which were used by Park Young-sik, a guard in Pyongyang, to wallpaper his inn. Later, Park Young-sik, having converted, turned his home into the first church in Pyongyang, the Noldari Gol Chapel. Thus, Korea encountered the Gospel before the missionaries, and the country was prepared by the Gospel. The first Korean church, Sorae Church, was established in 1884 by the brothers Seo Sang-ryun and Seo Kyung-jo. Seo Sang-ryun, along with missionary John Ross in Manchuria, worked to translate and distribute the first Korean Bible, while his brother, Seo Kyung-jo, distributed Bibles and worked in evangelism in Sorae, Hwanghae Province.

선교사들이 본격적으로 들어오다
Missionaries Begin to Arrive in Full Force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이 두 사람이 1885년에 입국하면서 본격적인 선교가 이루어졌다. “우리는 부활절에 이곳에 도착했다. 이 날 사망의 빗장을 산산이 깨뜨리고 부활하신 주께서, 이 나라 백성들이 얽매여 있는 굴레를 끊으사 그들에게 하나님의 자녀가 누리는 빛과 자유를 허락해 주옵소서.” 1885년 4월 9일, 제물포에 입국했던 아펜젤러가 드린 기도이다. 그는 간절한 마음으로 복음 전파에 힘썼고, 안타깝게도 1902년 목포에서 열리는 성경 번역자 회의에 참석하고자 군산으로 향하던 중 배가 침몰했고, 다른 사람의 생명을 구하려다 결국 순교하게 된다.

In 1885, the arrival of Underwood and Appenzeller marked the beginning of full-fledged missions. “We arrived here on Easter. On this day, may the risen Lord shatter the gates of death and break the chains that bind this nation, allowing them to experience the light and freedom that come with being God's children.” This prayer was made by Appenzeller when he arrived in Jemulpo on April 9, 1885. With a passionate heart, he dedicated himself to spreading the Gospel. Sadly, in 1902, while traveling to Gunsan to attend a Bible translators' conference in Mokpo, his ship sank, and he died while attempting to save another person's life.

한글성경의 문서선교가 백성들을 깨우다
The Impact of Documented Missions through the Korean Bible on Awakening the People

초기 문서선교는 한글보급과 정착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1900년경 존스 선교사는 ‘권서들은 읽는 법을 가르쳐주고, 스스로 하나님의 거룩한 책의 영광을 보게 함으로써, 자기 백성들을 얽매고 있는 무지와 문맹의 사슬을 끊도록 지속적으로 영감을 불어넣는 자들이다. 현재 나의 목회를 받고 있는 1500명의 개종자들 가운데서, 글을 읽지 못하나 부분적으로나마 신약성경을 가지고 있지 않은 자는 한 사람도 없다’고 말했다. 성서공회에 의해 1906년 최초의 공인역 ‘신약전서’가 출간되고, 1911년 구약전서가 출간되면서 그 영향력은 커져갔고, 한글 정착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Early documented mission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spread and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anguage. Around 1900, missionary Jones said, "Books teach people how to read and, by revealing the glory of God's holy book, they continually inspire them to break the chains of ignorance and illiteracy that bind their people. Among the 1,500 converts in my ministry, there is not one who cannot read, even if only partially, and all have access to the New Testament." In 1906, the first official Korean New Testament was published by the Bible Society, followed by the Old Testament in 1911. These publications greatly influenced the spread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establishment of Korean literacy.

선교사의 회개가 한반도의 부흥을 일으키다
The Repentance of Missionaries Sparked Revival in the Korean Peninsula

1903년 원산에서 열린 기도회에서 로버트 알렉산더 하디 선교사가 자기 안에 있던 민족적 우월감과 하나님의 능력을 의지하기보다는 자신을 의지한 교만함을 공개적으로 회개하는 것으로 성령의 불길이 한반도 전체로 퍼져나갔다. 그 불길이 1907년 평양 장대현 교회로 이어지면서 대대적인 부흥의 불꽃이 타오르게 된다. 이때 기도하려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지자 다 함께 기도하게 했는데 이것이 통성기도의 시작이었다. 이렇게 엄청난 부흥의 역사가 한반도를 뒤덮게 되었다.

In 1903, during a prayer meeting in Wonsan, missionary Robert Alexander Hardy publicly repented of his pride and reliance on himself, rather than on God's power. This act of repentance sparked the flames of the Holy Spirit, which spread across the Korean Peninsula. This revival eventually reached the Pyongyang Changdaehyun Church in 1907, where a great revival fire ignited. As more and more people came to pray, they began praying together, which marked the beginning of corporate prayer. This remarkable revival swept across the Korean Peninsula.


2. 민족의 아픔 속에 주님을 따른 예수교회들
Jesus Churches That Followed the Lord in the Midst of the Nation’s Pain

 

초기 한국 선교는 민족의 아픔과 함께하는 선교였다.
Early Korean missions were missions that shared in the nation's pain.

민족의 아픔을 함께 아파하고 함께 고민하며, 복음의 능력으로 그 모든 고난을 견디게 만든 것이 바로 ‘신앙’이었다.
The ability to endure all suffering through the power of the Gospel, sharing in the nation’s pain and struggles, was made possible by faith.

열여섯살에 이화학당을 다니던 어린 소녀 유관순은 나라의 현실을 가슴 아파하며 금식하며 기도했다. 그녀는 일제의 잔혹한 총칼 앞에서도 나라를 사랑하는 그 뜨거운 마음을 절대 포기하지 않았다.
At the age of sixteen, a young girl, Yoo Gwan-sun, who attended Ewha School, was deeply grieved by the state of her country, fasting and praying. She never gave up the fiery passion to love her country, even in the face of Japan’s cruel guns and swords.

그녀는 교회에서 나고 자랐으며, 교회에서 배웠고, 교회에서 독립운동을 했다. 그리고 교회 예배로 마지막 삶을 마감했다.
She was born and raised in the church, learned in the church, and fought for independence in the church. She ended her life with a church service.

“하나님이여, 이제 시간이 임박하였습니다. 원수를 물리쳐 주시고, 이 땅에 자유와 독립을 주소서. 내일 거사할 각 대표들에게 더욱 용기와 힘을 주시고, 이로 말미암아 이 민족이 행복한 땅이 되게 하소서. 주여, 함께 하시고, 이 소녀에게 용기와 힘을 주옵소서. 대한 독립 만세! 대한 독립 만세!”
“O God, the time has come. Please defeat the enemies, and grant freedom and independence to this land. Give more courage and strength to the representatives who will act tomorrow, and through this, make this nation a land of happiness. Lord, be with us, and give this young girl courage and strength. Long live Korean independence! Long live Korean independence!”

주기철 목사는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를 온몸으로 맞서다 해방 1년을 앞두고 주님 품에 안긴 순교자이다.
Pastor Ju Ki-cheol stood firm against Japan’s forced participation in Shinto worship, and became a martyr just one year before liberation.

6년 동안 말할 수 없는 고문을 당했고, 일제는 그의 마음을 돌이키기 위해 온갖 회유를 했다. 고통 중에 있던 그는 감옥에서 주님의 음성을 듣게 된다.
He endured six years of unimaginable torture, and the Japanese attempted every kind of persuasion to turn him away. During his suffering, he heard the voice of the Lord in prison.

많은 교회들이 신사참배에 동참할 때, 주님께서 쓰러져 있는 그에게 ‘너마저 날 버리겠느냐?’라고 물으셨고, 그는 ‘아닙니다. 주님께서 나를 위해 십자가에서 물과 피를 흘리셨는데, 내가 어찌 주님을 모른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대답했다.
When many churches participated in Shinto worship, the Lord asked him, lying in despair, 'Will you also forsake me?' He replied, 'No. You shed Your blood and water on the cross for me, how can I say I do not know You?'

그는 “내가 십자가를 지는 줄 알았는데, 주님의 십자가가 나를 지고 있었습니다!”라는 말씀을 남기고 주님의 부름을 받았다.
He left the words, "I thought I was carrying the cross, but it was the Lord's cross that was carrying me!" and answered the Lord's call.

주기철 목사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분이 손양원 목사이다.
Pastor Son Yang-won was greatly influenced by Pastor Ju Ki-cheol.

그는 신사참배 반대운동으로 옥고를 치뤘고, 1948년 여순 반란 사건 때 두 아들을 공산주의자들에게 잃었다. 하지만 그는 아들의 죽음에 가담한 청년을 용서하고 오히려 하나님께 감사하며 그를 양아들로 맞아들여 ‘사랑의 원자탄’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He suffered imprisonment for opposing the Shinto worship, and in the 1948 Yeosu Rebellion, he lost both of his sons to communists. However, he forgave the young man responsible for their deaths, thanking God, and took him in as his adopted son, earning the nickname 'The Atomic Bomb of Love.'

그는 6.25 때 공산군의 총에 맞아 48세로 생을 마감한다.
He died at the age of 48, shot by communist forces during the Korean War.


기도제목 Prayer Request

1903년 하디 선교사의 회개 기도에서 촉발된 회개 부흥 운동은 삽시간에 조선 전체로 퍼져나갔고, 1907년 평양 대부흥 운동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참된 회개가 부흥의 시작임을 이 시대의 모든 교회가 깨달을 수 있도록 기도하자. 그래서 우리가 회개할 때 실제적인 대가지불을 하며, 자신의 체면이 구겨지더라도 하나님 경외함으로 회개의 합당한 열매를 맺기까지 순종하는 예수교회가 되도록 기도하자.
The repentance revival movement triggered by the prayer of missionary Hardy in 1903 quickly spread across Korea, leading to the Great Revival of Pyongyang in 1907. Let us pray that all churches of this era would realize that true repentance is the beginning of revival. Let us pray that when we repent, we will make real sacrifices, humbling ourselves and bearing the proper fruits of repentance with reverence for God.

그러므로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고 속으로 아브라함이 우리 조상이라 말하지 말라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하나님이 능히 이 돌들로도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게 하시리라. 이미 도끼가 나무 뿌리에 놓였으니 좋은 열매 맺지 아니하는 나무마다 찍혀 불에 던져지리라(누가복음 3:7-8)
Produce fruit in keeping with repentance. And do not begin to say to yourselves, 'We have Abraham as our father.' For I tell you that out of these stones God can raise up children for Abraham. The ax is already at the root of the trees, and every tree that does not produce good fruit will be cut down and thrown into the fire. (Luke 3:7-8)


한국에 온 선교사들과 이 땅의 교회들은 나라와 민족의 아픔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고난받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순종했다.
The missionaries who came to Korea and the churches in this land did not fear to suffer with Jesus Christ amid the pain of the nation and people, and they obeyed.

이런 믿음의 증인들처럼 지금 우리가 북한과 열방의 잃어버린 영혼들에게 선교하며 고난의 영광에 함께 참여하는 예수교회가 되도록 기도하자.
Let us pray that, like these witnesses of faith, we may become a Jesus Church that participates in the glory of suffering, evangelizing to the lost souls of North Korea and the nations.

사랑하는 자들아 너희를 연단하려고 오는 불 시험을 이상한 일 당하는 것 같이 이상히 여기지 말고 오히려 너희가 그리스도의 고난에 참여하는 것으로 즐거워하라 이는 그의 영광을 나타내실 때에 너희로 즐거워하고 기뻐하게 하려 함이라(베드로전서 4:12-13)
Dear friends, do not be surprised at the fiery ordeal that has come on you to test you, as though something strange were happening to you. But rejoice inasmuch as you participate in the sufferings of Christ, so that you may be overjoyed when his glory is revealed. (1 Peter 4:12-13)

 


기도제목 Prayer Request

하나님께서는 교회가 말씀에서 벗어나 타락하면 계속 개혁하게 하시고 성경으로 돌아오게 하셨다.
God has always led the church to reform whenever it strays from the truth of His Word, bringing it back to the Scriptures.

지금 우리가 성경 진리의 말씀에서 벗어난 것들이 있다면 개혁하여 돌이키도록 기도하자.
Let us pray that if we have deviated from the truth of the Bible, we may repent and return to it.

교회가 세상의 모조품들을 따라가지 않고, 달리 변화될 수 없는 참 진리인 하나님의 말씀, 성경을 믿고 순종하도록 기도하자.
Let us pray that the church will not follow the imitations of the world, but will believe and obey the unchangeable truth of God's Word, the Bible.

오늘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복음을 가진 예수교회로 성경을 생명 다해 붙잡고 순종해 하나님께 영광이 되도록 기도하자.
Today, let us pray that we, as the Jesus Church with the gospel of Jesus Christ's cross, will hold fast to the Bible with all our lives and obey, bringing glory to God.

이로써 그 보배롭고 지극히 큰 약속을 우리에게 주사 이 약속으로 말미암아 너희가 정욕 때문에 세상에서 썩어질 것을 피하여 신성의 성품에 참여하는 자가 되게 하려 하셨느니라
Through these he has given us his very great and precious promises, so that through them you may participate in the divine nature, having escaped the corruption in the world caused by evil desires. (2 Peter 1:4)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로 연합한 예수교회는 성경 말씀대로 믿고 기도하면서 자기 삶의 전부를 선교에 순종해왔다.
The Jesus Church, united with Christ through His death and resurrection, has believed in the Scriptures and obeyed, dedicating their entire lives to missions through prayer.

초대교회때부터 근.현대의 예수교회들이 선교에 헌신한 열매가 오늘날 우리들이다.
The fruit of the devotion to missions by the early church and the Jesus Church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is seen in us today.

노예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스스로 노예가 되었던 모라비안들과 같이 이 시대의 예수교회가 마지막 남은 선교를 위해 어떻게 순종할 것인지 기도하며 오직 주님만을 따라 갈 것을 결단하며 기도하자.
Like the Moravians who became slaves themselves to preach the gospel to other slaves, let us pray and commit to following the Lord alone, asking how the Jesus Church of our time will obey for the last remaining missions.

믿음으로 모세는 장성하여 바로의 공주의 아들이라 칭함 받기를 거절하고 도리어 하나님의 백성과 함께 고난 받기를 잠시 죄악의 낙을 누리는 것보다 더 좋아하고 그리스도를 위하여 받는 수모를 애굽의 모든 보화보다 더 큰 재물로 여겼으니 이는 상 주심을 바라봄이라
By faith Moses, when he had grown up, refused to be known as the son of Pharaoh's daughter. He chose to be mistreated along with the people of God rather than to enjoy the fleeting pleasures of sin. He regarded disgrace for the sake of Christ as of greater value than the treasures of Egypt, because he was looking ahead to his reward. (Hebrews 11:24-26)

 


기도정보 1 [사우디아라비아]
Prayer Information 1 [Saudi Arabia]

“하나님의 나라는 공중의 새들이 그늘에 깃들일 만큼 되느니라”
“The kingdom of God is like a mustard seed, which, when planted in the ground, grows and becomes larger than all the other plants and provides shade for the birds of the air.” (Mark 4:30-32)

사우디 교회, 지하에서 비밀리 예배하며 성장해
The Saudi Church, Worshipping Secretly in the Underground and Growing

이슬람의 발상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교회가 지하에서 비밀리에 예배하면서도 성장하고 있다고 미션네트워크가 지난 23일 전했다.
In the birthplace of Islam, Saudi Arabia, churches are secretly holding worship services underground and growing, according to Mission Network News on the 23rd.

교회 개척과 기독교 제자 양육 사역을 지원하는 FMI(Forgotten Missionaries International)의 브루스 앨런은 조슈아 프로젝트의 통계를 인용해 “사우디아라비아의 기독교인 증가율은 세계 평균보다 약 65% 더 높다”면서 “정부가 복음에 대해 폐쇄적이라고 해서 국민들의 마음도 마찬가지라는 뜻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Bruce Allen of FMI (Forgotten Missionaries International), which supports church planting and Christian discipleship, quoted statistics from the Joshua Project, stating, “The Christian population growth rate in Saudi Arabia is about 65% higher than the world average,” adding, “Just because the government is closed to the gospel doesn’t mean that the people’s hearts are the same.”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이슬람 절대 군주제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무슬림 아버지 밑에서 태어났다면 법에 따라 무슬림으로 간주된다. 압도적으로 많은 국민이 무슬림이다. 이에 비무슬림은 지하에서 비밀리에 종교를 실천해야 하며, 차별과 체포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
The government of Saudi Arabia is an absolute monarchy based on Islam. If a person is born to a Muslim father, they are legally considered Muslim.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is Muslim, and non-Muslims must practice their religion in secret, exposed to the risks of discrimination and arrest.

이에 FMI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신앙을 지키며 살아가는 지역 교회 지도자들을 돕기 위해 그들의 곁에서 함께하고 있다.
Despite the difficult situation in Saudi Arabia, FMI is helping local church leaders who continue to live out their faith, supporting them alongside them.

앨런은 “그리스도를 따르는 소규모의 지하 교회를 목양하는 목자들이 있다. 우리는 그들의 곁에서 이슬람의 발상지와 같은 전략적 장소에서 중요한 사역을 감당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고 싶다”고 말했다.
Allen said, “There are pastors shepherding small underground churches following Christ. We want to empower them to carry out important ministries in strategic places like the birthplace of Islam.”

올해 세 번째로 사우디아라비아에 방문 예정인 FMI 팀은 현지 교회 지도자들과 유익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기도를 요청했다.
The FMI team, scheduled to visit Saudi Arabia for the third time this year, is requesting prayer to build beneficial relationships with local church leaders.

앨런은 “그곳은 어려운 곳이다. 그들의 믿음이 성장하고 그들이 예수님의 이름으로 자신의 국민들을 축복할 수 있도록, 그리고 더 많은 사람들이 응답할 수 있도록 기도해 달라”고 부탁하면서 “우리는 이곳에서 성령의 역사가 일어나고 있음을 본다”고 말했다.
Allen requested prayer, saying, “It is a difficult place. Pray that their faith will grow, that they can bless their people in Jesus' name, and that more people will respond. We see the work of the Holy Spirit happening here.”

또한 사우디에 거주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해서도 기도를 부탁했다.
He also requested prayer for foreign workers living in Saudi Arabia.

앨런은 “사우디 인구의 약 30%는 외국인이다. 그들은 사우디에서 일하기 위해 다른 나라에서 왔다. 기독교인들이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창의적이고 분명한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기회와 용기를 갖도록 기도해 달라”고 덧붙였다
Allen added, “About 30% of the population in Saudi Arabia is foreign. They came from other countries to work in Saudi Arabia. Please pray that Christians will have the opportunity and courage to preach the gospel clearly and creatively to these foreign workers.”

기도제공 Prayer Information
기도24·365본부 Prayer 24·365 Headquarters


기도정보 2 [한국]
Prayer Information 2 [South Korea]

“너희도 우리를 위하여 간구함으로 도우라”
“You also help us by prayer.” (2 Corinthians 1:11)

전쟁·폭동·쿠데타 와중에도… 한인 선교사 사역은 계속된다
Despite Wars, Riots, and Coups… Korean Missionaries Continue Their Work

전쟁과 폭동, 쿠데타 등으로 전 세계 곳곳이 일촉즉발의 화약고처럼 위태롭다.
Wars, riots, and coups have turned various parts of the world into powder kegs, dangerously close to erupting.

현지에 터전을 둔 한인 선교사들은 위기 속에서도 성도들을 지키는 한편 예배와 사역, 섬김 활동을 이어가면서 한국교회의 관심과 중보기도를 요청했다.
Korean missionaries who have established their foundations in these regions continue to protect believers, while also maintaining worship, ministry, and service activities, and they are calling for the attention and intercessory prayers of the Korean church.

지난해 10월 시작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수장들이 이스라엘에 의해 잇따라 암살되면서 중동은 확전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The Israel-Hamas war, which began in October of last year, has escalated, especially after the leaders of the Palestinian armed group Hamas were assassinated by Israel, heightening tensions in the Middle East.

유진상 이스라엘 선교사는 “이란의 보복에 대한 긴장감이 높아 뉴스에서도 전쟁 관련 보도가 연일 이어지고 만나는 사람마다 전쟁 이야기를 한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Missionary Eugene Sang, serving in Israel, reported, “Tensions about Iran’s retaliation are rising, and war-related news is constantly being reported, with everyone I meet discussing the war.”

현지 한인교회들은 매일 밤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으로 기도하면서 두려움을 이겨내고 있다고 유 선교사는 전했다.
Korean churches in the region are reportedly overcoming their fears by praying together every night through the Zoom video conferencing platform, according to missionary Yu.

그는 “여름방학을 맞아 한국으로 떠난 가족이나 학생들이 돌아오기 어려워진 조금 복잡한 상황”이라며 “그럼에도 대부분 한인 성도들과 교회들은 본연의 사명을 잘 감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He mentioned, "It has become a somewhat complicated situation with families and students who went back to Korea for summer break, as they are now finding it difficult to return." However, he noted that most of the Korean believers and churches are fulfilling their mission well.

그러면서 “분노의 시대에서 자라나는 다음세대에게 복음이 올바로 전해지도록 기도해 달라”고 요청했다.
He also requested prayer that the gospel would be properly preached to the next generation growing up in an era of anger.

이스라엘 접경국이자 또 다른 무장정파인 헤즈볼라의 본거지 레바논에서도 위기가 감지된다.
A crisis is also being sensed in Lebanon, which is both a border country to Israel and the home of another armed group, Hezbollah.

김성국 선교사는 “이스라엘 접경 지역에 있는 남쪽 주민들이 북쪽으로 이주하고 있다” 그러면서 “외국인이 느끼는 두려움은 현지인보다 커서 해외 선교사들의 경우 대부분 일시 귀국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Missionary Kim Seong-guk said, "Residents from the southern border region with Israel are migrating north." He also mentioned, "The fear felt by foreigners is greater than that of the locals, so most overseas missionaries have temporarily returned home."

반정부 시위 격화로 총리가 해외로 도피한 방글라데시에서는 약탈과 방화로 인한 혼돈이 극에 달하고 있다.
In Bangladesh, where anti-government protests have intensified and the prime minister has fled the country, chaos has reached its peak with looting and arson.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200여 명이 사망한 데 이어 지난 4일 하루 동안 100여 명이 숨졌다.
According to reports, over 200 people were killed last month, and on the 4th, another 100 people lost their lives in a single day.

현재 방글라데시는 통행금지령으로 외출 시간이 제한됐으며 경찰이 근무를 거부하면서 치안이 사실상 마비된 상황이다.
Currently, Bangladesh is under curfew, restricting travel times, and with the police refusing to work, the security situation is virtually paralyzed.

방글라데시에서 22년째 사역 중인 이민재(가명) 선교사는 “한 지역에서는 통행금지 때문에 교회와 학교 사역이 큰 어려움에 봉착했다”면서 “경제활동마저 여의치 않다. 현지 성도들이 일용직 일자리마저 잃어 생계를 유지하기 힘들 정도”라고 전했다.
Missionary Lee Min-jae (pseudonym), who has been serving in Bangladesh for 22 years, reported, “In one area, church and school ministries are facing significant difficulties due to the curfew. Economic activities are also severely restricted, and local believers are struggling to maintain their livelihoods as they have lost even casual jobs.”

또한 치안과 정세가 불안한 틈을 타 기독교인 박해가 일어나고 있다고 전해왔다.
He also reported that, taking advantage of the instability in security and the political situation, Christian persecution is occurring.

남미의 베네수엘라는 지난달 말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 대한 부정선거 의혹으로 시민들의 항의 시위가 거세다.
In South America, Venezuela is seeing large-scale protests due to allegations of electoral fraud in the recent presidential election.

현재까지 사망자만 20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It is reported that over 20 people have died so far.

세계한인기독교총연합회 베네수엘라 지부장인 정원섭 선교사는 “지난 10년간 가난 등으로 나라가 어려워서 많은 이들이 나라와 교회를 떠났고 이 중엔 목회자도 있다”면서 나라를 회복시킬 새 정부가 들어서도록 기도해 달라고 요청했다.
Pastor Jeong Won-seop, the head of the Venezuelan branch of the World Korean Christian Association, said, “The country has been struggling with poverty for the past 10 years, and many have left the country and the church, including pastors. Please pray for a new government to come in and restore the country.”

미얀마는 2021년 2월 시작된 군부 쿠데타 사태가 3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Myanmar has been in a military coup crisis since February 2021, and it has been ongoing for more than three years.

현지에서 사역 중인 강성원 선교사에 따르면 치솟는 물가와 실업률로 생계를 이어가기 어려운 이들이 속출하고 있다.
According to missionary Kang Seong-won, who is serving locally, many people are struggling to make ends meet due to skyrocketing prices and unemployment.

강 선교사는 “미얀마 상황을 외부에 알리지 못하도록 카카오톡, 페이스북 등 SNS 접속을 차단한 예도 있다”고 전했다.
Missionary Kang reported, “There have been cases where access to social media platforms like KakaoTalk and Facebook was blocked to prevent information about Myanmar’s situation from getting out.”

숨 막히는 상황에서도 현지 교회들은 예배를 멈추지 않는다고 강 선교사는 덧붙였다.
Despite the suffocating situation, Missionary Kang added that local churches have not stopped worshiping.

그는 “양곤 등 몇몇 지역에서는 군경이 교회에 불시에 들이닥쳐 예배를 방해하거나 예배당을 폐쇄시키는 일도 비일비재하다”며 “그럼에도 현지인들은 묵묵히 예배를 드리고 있다”고 말했다.
He said, “In some areas like Yangon, the military and police often raid churches unexpectedly, disrupting worship or closing down church buildings. Yet, the locals continue to worship quietly.”


기도제공 Prayer Information

기도24·365본부 Prayer 24·365 Headquar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