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및 강의/웨이설교

성경 그리스어(신약원어) 어순으로 살펴보는 고후 5:21

성경 헬라어(코이네 그리스어)에도 어순이 있습니다.
그러나 영어, 한국어, 중국어처럼 엄격한 규칙을 따르지는 않습니다.
헬라어는 격변화(flection) 언어이기 때문에, 단어가 문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주어, 목적어, 서술어 등)는 어순보다는 단어의 형태(격변화)에 의해 결정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선호되는 어순이 존재합니다.


1. 성경 헬라어의 기본 어순
헬라어는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어순을 가지지만, 가장 일반적인 어순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 어순 (SVO: 주어-동사-목적어)
Ὁ θεός ἀγαπᾷ τὸν κόσμον....(요 3:16)

Ὁ θεός (주어: 하나님)
ἀγαπᾷ (동사: 사랑하신다)
τὸν κόσμον (목적어: 세상)

→ 영어와 유사하게 주어(S) – 동사(V) – 목적어(O) 순서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2) 강조를 위한 변형된 어순
헬라어에서는 문장에서 강조하고 싶은 요소를 앞으로 배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a) 목적어를 강조할 때 (OVS)
Τὸν κόσμον ὁ θεός ἀγαπᾷ.
세상을 하나님이 사랑하신다.
→ "세상"을 강조하고 싶을 때 목적어를 문장 앞에 배치할 수 있음.

(b) 동사를 강조할 때 (VSO)
Ἀγαπᾷ ὁ θεός τὸν κόσμον.
사랑하신다, 하나님이 세상을.
→ "사랑하신다"를 강조하고 싶을 때 동사를 먼저 배치.

(c) 주어를 강조할 때 (SOV)
Ὁ θεός τὸν κόσμον ἀγαπᾷ.
하나님이 세상을 사랑하신다.
→ "하나님"을 강조하는 구조.



2. 고린도후서 5:21의 어순 분석
원문:
Τὸν γὰρ μὴ γνόντα ἁμαρτίαν, ὑπὲρ ἡμῶν ἁμαρτίαν ἐποίησεν, ἵνα ἡμεῖς γενώμεθα δικαιοσύνη θεοῦ ἐν αὐτῷ.

(1) 일반적인 어순과 비교
헬라어 기본 어순: SVO (주어-동사-목적어)
이 문장에서의 어순: O S V O 목적절

목적어 Τὸν μὴ γνόντα ἁμαρτίαν (죄를 알지 못한 이) 가 문장 앞에 옴 → 강조

주어 생략됨 (예수님이 주어이지만, 헬라어에서는 자주 생략 가능)

동사 ἐποίησεν (삼으셨다)

목적어 ἁμαρτίαν (죄)

목적절 ἵνα ἡμεῖς γενώμεθα δικαιοσύνη θεοῦ ἐν αὐτῷ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의 의가 되게 하려 함)


(2) 왜 어순이 이렇게 되었을까?

ㄱ. 강조를 위해 목적어를 앞으로 배치함

Τὸν μὴ γνόντα ἁμαρτίαν (죄를 알지 못한 이) → 예수님의 무죄성 강조


ㄴ.동사를 문장 중간에 배치하여 핵심 행위를 강조함

ἐποίησεν (삼으셨다) → 하나님이 하신 구원의 행동 강조


ㄷ.목적절(ἵνα 이하)을 마지막에 배치하여 결론적으로 강조

"왜 예수님을 죄로 삼으셨는가?" → "우리를 하나님의 의가 되게 하려고"



3. 성경 헬라어와 다른 언어 비교

(1) 영어와의 차이점

예제 비교 (요 3:16)

헬라어:  Οὕτως γὰρ ἠγάπησεν ὁ θεὸς τὸν κόσμον. (이처럼 사랑하셨다 하나님이 세상을)

영어: For God so loved the world.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셨다)

한국어: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셨다. (SOV 구조)

→ 헬라어는 어순이 자유롭고, 강조하고 싶은 단어를 앞에 놓는 경향이 있음.

☆헬라어 성경을 해석할 때는 어순이 아니라, 단어의 형태(격변화)와 문맥을 통해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